정부 "체감물가 부담 커…농산물 등 생활물가 안정 총력"

입력 2024-06-21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배추·무 등 가용물량 2.8만톤 확보…김 수급관리 협의체 운영

▲2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21일 "올해 6월 중 양호한 기상여건, 주요 작물 출하 확대 등으로 농산물 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하고, 석유류 가격 하락세가 계속되면서 물가 안정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농축수산물, 식품·외식, 석유류 등 주요 품목별 가격 동향 등을 점검한 뒤 이같이 말했다.

다만 그는 "국제유가 변동성, 이상기후 등 불확실성이 여전하고 누적된 고물가로 인해 체감물가 부담이 큰 만큼 먹거리 등 체감도가 높은 생활물가 안정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정부는 배추·무는 비축(1만5000톤), 계약재배(7000톤), 산지출하조절시설(6000톤) 등 정부 가용물량 2만8000톤을 확보해 여름철 농산물 수급 불안에 대응할 계획이다.

수입과일은 6월 중 할당관세 등을 통해 4만 톤 이상을 추가 도입하고 하반기에도 할당관세가 연장된 만큼 추가 물량을 신속히 공급한다.

소비자들의 합리적 선택을 지원하기 위해 이번 주부터 수박 수급 동향을 시작으로 사회누리망(SNS) 등을 통해 주요 농식품 물가·수급 상황 등에 대한 정보 제공도 확대한다.

수산물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어한기 대비 수산물 비축물량 4156톤(계획 대비 82%)을 공급한 가운데 원양산 오징어 225톤을 이번 주 안에 주요 마트에 추가 공급한다.

김의 경우 내달 중 민관협의체(해수부 주관)를 구성하ㅐ김 수급관리 방안, 업계 현안 및 개선과제 등을 집중 논의한다.

석유류에 대해서는 유류세 한시 인하조치를 올해 8월까지 2개월 연장한 것에 맞춰 버스·택시·화물차·연안화물선 등에 대한 경유·압축천연가스(CNG) 유가 연동보조금도 8월까지 2개월 추가 연장해 유류비 부담을 경감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