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100억 횡령’ 우리은행 검사 확대…인력 추가 투입

입력 2024-06-21 10:20수정 2024-06-24 07: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제공=우리금융그룹)
금융감독원이 100억 원 규모의 횡령 사고가 발생한 우리은행에 대한 검사를 확대한다. 최근 이복현 금감원장이 필요 시 본점에 책임을 묻겠다고 언급한 만큼 고강도 제재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21일 금유당국 및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우리은행 현장 검사에 인력 3명을 추가 투입해 총 9명의 검사 인력이 은행의 내부통제 부실을 들여다본다.

전날 금감원 은행 담당 임원은 우리은행 검사 현장을 방문해 검사 진행 현장을 직접 점검하기도 했다. 그는 사고 발생 지점뿐만 아니라 본점 차원의 여신 관련 업무 절차 전반에 대한 강도 높은 검사와 지점 관리 및 사고 예방 실패에 대한 철저한 원인 규명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다음 달 초까지로 예정된 검사 시한을 추가 연장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2022년 우리은행에서 700억 원대의 횡령 사고가 발생했을 당시 금감원은 검사 기간을 연장해 두 달가량 검사를 진행했다.

최근 이 원장이 필요 시 본점에 책임을 묻겠다고 언급한 만큼 고강도 제재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은 이번 현장검사 결과 위법 사항이 확인된 임직원에 대해 현행 법령상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고 수위로 엄정하게 조치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원장은 19일 은행장 간담회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단순히 영업점뿐만 아니라 본점 단계의 관리 실패도 점검하고 있다”며 “본점의 관리 실패가 있다면 현 규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영업점 일선에서의 방어체계, 본점 여신, 감사단 소위 3중 방어체계가 제대로 작동했는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그 과정에서 본점의 문제가 있다면 엄하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우리은행 경남 김해 영업점에서 근무하던 직원 A 씨는 올해 초부터 최근까지 약 6개월 동안 100억 원 상당의 고객 대출금을 횡령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출 신청서와 입금 관련 서류를 위조하는 방식으로 대출금을 빼돌린 후 해외 선물 등에 투자해 60억 원 상당의 손실을 본 것으로 알려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