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협력사 전담 조직 운영해 '상생 협력' 앞장 [동반성장]

입력 2024-06-24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3월 28일 수원 라마다 호텔에서 열린 '2024 상생협력데이' 현장 (자료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가 협력회사 전담 조직을 통해 상생 협력에 앞장서고 있다.

삼성전자는 2004년 국내 기업 최초로 해당 조직을 신설해 경영 환경 개선과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활동을 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2005년 국내 기업 최초로 협력회사 거래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거래 대금 지급 문화 개선에 힘쓰고 있다.

2017년 1∙2차 협력회사간 거래대금 지원용 물대지원펀드(5000억 원), 2018년 3차 협력회사 전용 물대지원펀드(3000억 원)를 조성해 협력회사간 거래대금이 30일 이내에 현금으로 지급될 수 있도록 무이자로 대출해주고 있다.

또 원자재 가격뿐 아니라 최저임금 인상분을 납품 단가에 반영하고 있다. 2010년부터 1조4000억 원 규모의 상생펀드를 조성해 협력회사의 기술개발·설비투자 자금 등을 저금리로 대출해 주고 있다.

아울러 협력회사의 미래 성장 동력 발굴 지원을 위해 2009년부터 국내 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술을 소개하는 '우수기술 설명회'와 사업화 기술을 소개하는 ‘Biz 기술 설명회’ 개최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보유한 특허를 미거래 중소기업까지 개방해 지난해까지 누적으로 약 2100여 건의 특허를 무상 양도했다. 2013년부터는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공동투자형기술개발사업'에 지원금을 출연, 약 200억 원을 지원했다. 2022년에는 신규 펀드 300억 원을 추가 조성해 차세대 기술과 ESG 기술 확보 등을 지원해오고 있다.

삼성전자는 2012년부터 삼성협력데이를 개최해 삼성과 협력회사가 서로 소통하고 격려하며 동반성장 의지를 다지고 있다.

2024년 상생협력데이에 참석한 한종희 부회장은 "앞으로의 제조현장은 인공지능을 탑재한 로봇의 등장에 따라 초연결, 초지능, 초융합의 제조역량을 확보한 기업들이 무한 경쟁력으로 앞서 나가는 시대가 될 것"이라며 "협력회사도 이를 위한 자동화, 무인화 등 미래를 대비하는 혜안을 바탕으로 지속성장의 기반을 확보해 달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