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00찍은 코스피, “3000이 결승점 아니다"[불붙은 세계증시에 韓 동참하나]①

입력 2024-06-20 14:07수정 2024-06-20 16:3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주가 상승 동력(금리인하, 기업 밸류업) 필요”

▲증권가 하반기 코스피 예상 밴드 (각사 취합)

“도약대에 서 있다. 장기 상승을 위한 탄탄한 장대(금리인하, 기업 밸류업)가 필요하다.”

20일 코스피는 2년 5개월 만에 2800(2807.63)을 넘어섰다. 코스피 3000시대를 앞두고 주가의 향방에 대한 전문가(증권사 리서치센터장) 전망을 한 줄로 요약하면 이렇다. "주가 상승에 속도가 붙고 있지만, 시중에 풀린 갈 곳 없는 돈은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실적이 뒷받침되고, 기업밸류업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이 필요하다" 기업과 개인투자자 세제 혜택, 기업 가치 제고를 위한 지원책(배임죄 폐지)과 투자 및 인수합병(M&A)활성화를 위한 정책 지원 강화 등을 말한다.

전문가들은 인공지능 (AI) 시장으로의 산업구조 변화가 이어지고, 물가 안정과 경기 회복 기대감이 커진 점도 긍정적 요인으로 꼽았다.

이들의 분석대로면 꿈의 숫자로 여겨졌던 코스피 3000이 결승점이 아니라는 것이다. 하반기 국내 증시가 몸집과 맷집을 키워가며 3000선에 안착한 뒤 3100(하나증권, 금리 인하시)~3150선(삼성증권)까지 치고 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돈이 갈 곳은 주식시장뿐

“점도표의 올해 한 차례 인하 전망은 고정된 것이 아니며 참여 위원들의 경로 전망을 감안하면 올해 1~2회 인하가 가능하다”(12일 현지시간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시장에서는 코스피의 운명이 연준의 통화정책과 궤를 함께 할 것으로 봤다. 기준금리 인하는 국내 기업 실적(비용 부담 완화)과도 직결된다.

하나증권 이재만 연구원은 “시장 예상대로 미국 물가와 고용이 둔화할 경우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가 가능하다”며 코스피 고점을 3100선으로 제시했다.

그러면서 기준금리 인하로 시중금리가 하락하면 기업의 비용 부담이 경감돼 영업이익률 상승에 대한 신뢰가 제고되고, 주식시장 할인율 하락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코스피 상장사들의 영업이익률은 2021년 8.3%에서 2023년 4.9%까지 2년 연속 떨어졌으나 올해는 7.6%로 반등하고 내년은 8.9%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원은 “코스피 영업이익률이 전년 대비 하락하면서 연간 평균 수익률은 마이너스(-)였다”며 “영업이익률 개선의 첫 번째 해에 코스피 연간 평균 수익률은 16%이며 올해는 영업이익률 개선의 첫 번째 연도에 해당한다”고 짚었다.

이어 “과거 연간 평균 수익률을 적용하면 하반기 코스피 고점은 3100선이며 2년 연속 상승 시 2년째 되는 해의 코스피 연간 평균 수익률은 4%, 3년 연속 상승 시 3년째 되는 해의 코스피 연간 평균 수익률은 22%”라고 부연했다.

단기적 조정과 출렁임이 있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상승 국면이 이어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 역시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이 하반기 증시의 방향을 결정할 것”이라며 “하반기 경기는 3분기를 저점으로 미국 경기회복세에 글로벌 주요 국가들의 금리 인하 사이클이 맞물리면 주식시장의 강한 상승 동력이 될 것”이라고 했다. 코스피 밴드도 2530~3110선을 제시했다. 경고도 잊지 않았다. 금리 동결 시에는 고점이 2950선에 머물고, 경기침체 방어용 인하 시에는 20% 이상 급락할 수 있다고 봤다.

인공지능(AI) 투자, 중국 제조업 경기, 미국 대선 등도 증시 변수로 꼽힌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3분기 실적 개선과 제조업 재고순환 사이클, 인공지능(AI) 투자 확대, 중국 경기 불확실성 해소 등이 우호적 요인이 될 것”이라며 하반기 코스피가 최대 3000(하단 2550)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증시 상승의 걸림돌로는 4분기엔 실적 모멘텀 둔화, 수출 증가율 정점, 미국 대선 전후 재정 이슈 부상 등을 꼽았다.

한국투자증권(2500~3000선), 한화투자증권(2500~3000선), 삼성증권(2650∼3150), 현대차증권(2500~3000선) 등도 하반기 코스피 상단을 3000으로 제시했다. 상상인증권(2500~2900선)과 LS증권(2560~2890선)은 코스피가 3000을 찍을 가능성을 낮게 봤다.

정부의 증시 부양책(금융투자소득세 폐지,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도입)에 대한 기대도 있다. 노동길 연구원은 “밸류업 프로그램은 정책 정당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중장기 관점에서 지속 추진될 전망”이라며 “밸류업 관련주의 하반기 전망은 밝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이 보는 믿고 투자할 곳

증시를 끌고 나갈 유망 종목으로 센터장들이 꼽은 것은 반도체 등 IT, 조선, 자동차, 방산, 전력기기 등이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AI는 기술 성장의 초입이다. 중장기적으로 우상향 기조에 있어 AI는 하나의 새로운 성장 축”이라며 “반도체 섹터의 실적이 늘어나는 것은 거의 기정사실이다. 엔비디아가 관련 산업을 이끌고 있고 결국 글로벌 경제와 기술에서 큰 역할을 할 것이란 걸 모두가 알고 있어서 이 트렌드는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노후화된 전력망 교체, AI·전기차 등 전력화 추세, 재생에너지 확대 추세 등으로 전력기기 호황은 단기에 꺾이지 않을 전망”이라며 “업체들의 공격적인 투자로 공급과잉이 있으면 피크아웃 우려가 나타날 수 있지만, 아직 그 단계는 오지 않았다고 판단한다”고 전했다. 하나증권은 기준금리 인하를 전제로 소프트웨어·미디어·2차전지·화장품·호텔·레저 업종을 제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