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북ㆍ러, 침략 시 상호지원…美 주도 대북 제재 뜯어고쳐야"

입력 2024-06-19 20:2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 체결에 "양국 관계 새로운 수준 격상"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가운데)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오른쪽 가운데)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평양에서 주요 각료가 배석한 확대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평양/AP뉴시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19일 북한과 맺은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에 한쪽이 침략당할 경우 서로 지원하는 조항이 포함됐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및 러시아 타스·인테르팍스 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이 이날 평양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회담한 이후 공동 언론 발표에서 "오늘 서명한 포괄적 동반자 협정은 무엇보다도 협정 당사자 중 한쪽이 침략당할 경우 상호 지원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방북 중인 이날 평양 금수산 영빈관에서 북러 정상회담 후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에 서명했다.

이는 1961년 북한과 옛 소련이 체결한 '조·소 우호협조 및 상호원조조약(조·소 동맹조약)'에 포함됐던 '유사시 자동군사개입 조항'의 부활에 가까운 수준으로 해석된다.

푸틴 대통령은 이번 협정에 대해 "그동안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양국 관계를 새로운 질적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진정 획기적인 문건"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러북간 장기적 관계를 심화시키기 위한 광범위한 목표 및 지침들이 마련됐다"고 덧붙였다.

그는 "러시아는 오늘 서명한 협정과 연계해 북한과 군사·기술 협력을 진전시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며 "새 협정 내에서 군사 분야에서 협력할 것"이라고도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와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를 비판했으며 양측의 군사 밀착을 경계하는 서방에 대한 반발감을 표시했다.

그는 "러시아와 북한에는 독립적인 외교 정책이 있으며 협박과 강요의 말을 용납하지 않는다"며 "서방이 정치, 경제 패권 유지를 목적으로 늘려온 수단인 제재에 맞설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미국과 그 동맹국들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 주도한 무기한 대북 제재는 뜯어고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안보) 정세 악화에 대해 북한 탓을 하는 것은 용납 불가"라며 "북한은 자체 방위력 강화와 국가 안보, 주권 수호를 위해 합리적인 조치를 취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정은(오른쪽)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새벽 평양 순안 국제공항에 도착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맞이하고 있다. 평양/AP연합뉴스

푸틴 대통령은 한ㆍ미ㆍ일 군사훈련에 대해서도 "이는 한국 및 일본, 그리고 북한에 적대적인 병력들이 참여하는 다양한 군사 훈련의 규모와 강도를 크게 높임으로써 지역 내 군사 기반을 확대하려는 미국의 대립적 정책"이라며 "동북아 역내 전체의 안보를 위협할 뿐 아니라 평화와 안정성을 약화시킨다"고 고 비판했다.

다만 "러시아는 한반도 무력 충돌 재발 위협을 제거하고 장기적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정치적, 외교적 노력을 계속할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북러 정상회담으로 "러시아와 북한간 우호·협력관계가 한층 발전하고 전체 지역 내 안보가 강화될 것"이라고도 했다.

푸틴 대통령의 이번 방북은 지난해 9월 러시아 극동 지역을 방문한 김 위원장의 초청을 수락하면서 이뤄졌다. 그는 김 위원장에게 "모스크바에 답방하기를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주요 언론은 이에 대해 푸틴 대통령이 김 위원장을 수도 모스크바에 초청한 것이라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