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자산가들, 지정학적 불안감에 이민행렬...한국, 1200명 유출로 세계 4위

입력 2024-06-19 16:1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글로벌 백만장자 역대 최대 12.8만 명 이주 전망
중국 1.52만명 순유출로 세계 1위
영국 9500명으로 2위...1년새 두 배 넘게 급증
UAE, 부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목적지

올해 전 세계적으로 정치적·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이를 피해 이주하려는 백만장자의 움직임이 역대 최대로 많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영국 투자이민 컨설팅업체인 헨리앤드파트너스는 이날 공개한 ‘2024년 헨리 개인자산 이주 보고서(Henley Private Wealth Migration Report 2024)’에서 올해 유동성 투자 가능 자산을 100만 달러(약 13억8000만 원) 이상 보유한 12만8000명의 자산가가 해외로 이주해 지난해 기록(12만 명)을 넘어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도미니 볼렉 헨리앤드파트너스 개인고객 부문 대표는 “전 세계가 지정학적 긴장, 경제적 불확실성, 사회적 격변이라는 ‘퍼펙트 스톰’으로 씨름하고 있는 가운데 부유층들이 해외 이주 흐름에 동참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올해 1만5200명의 자산가가 해외로 이주할 것으로 전망돼 순유출 규모가 가장 클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조사 때(1만3800명)보다 늘어난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 대유행) 이후 정부의 각종 규제가 강화되면서 부자들의 중국 탈출이 가속화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가장 이목을 끈 국가는 영국이었다. 유럽의 금융허브로 한때 백만장자들의 선호 거주지로 꼽혔던 영국의 순유출 규모는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9500명으로 전망됐다. 사실상 지난해(4200명)의 두 배가 넘는 자산가들이 영국을 떠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영국은 1950년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유럽 본토와 아프리카, 아시아, 중동의 부자들이 선호하는 국가였다. 하지만 유럽연합(EU) 탈퇴인 브렉시트로 부자들이 이탈하고 있다.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1만6500명의 자산가가 영국 땅을 떠났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위기, 인플레이션 등도 영국의 거주 매력도를 떨어뜨린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다음 달 총선 후 부자증세를 지향하는 야당 노동당이 집권할 가능성이 큰 점도 순유출 요인으로 꼽힌다.

한국에서도 올해 가장 많은 1200명의 자산가가 이동해 순유출 기준으로 세계 4위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2022년 400명에서 지난해 700명으로 부자 유출 순위 7위가 됐는데 올해는 작년보다 50% 늘어나 역대 최대 유출 기록을 세울 것으로 보인다. 영국 런던 소재 싱크탱크 정부연구소(Institute for Government)의 한나 화이트 최고경영자(CEO)는 “이런 흐름은 부분적으로 미국 대통령 선거 불확실성에서 비롯된다”며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되면 북한과의 군사적 위기 상황에서 한국을 지원할 가능성이 낮다는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인도와 러시아도 순유출을 이어가기는 하지만, 인도의 경우 지난해 5100명에서 올해 4300명으로, 러시아는 작년 2800명에서 1000명으로 각각 줄어 선방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자산가들이 가장 많이 유입될 것으로 전망되는 국가는 아랍에미리트(UAE)가 꼽혔다. 올해에만 6700명의 자산가가 UAE에 이주할 것으로 예상된다. UAE는 그간 인도나 중동 지역 부자 사이에서 선호지역으로 꼽혔는데,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에는 러시아 부호들도 UAE를 주목하기 시작했다.

미국이 3800명, 싱가포르가 3500명으로 UAE의 뒤를 이어 부자들이 선호하는 목적지로 꼽혔다.

뉴월드웰스의 연구 책임자 앤드루 아몰리스는 “자산가가 이주해오면 외환 수익이 발생하고, 그들이 새로운 사업을 벌이면 현지에 일자리가 창출된다”면서 “이렇게 이주한 자산가들의 약 20%는 현지에서 새로운 사업을 시작할 수 있는 기업가들”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