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신용등급 강등에 다시 불거지는 PF 리스크…“과도한 우려는 기우”

입력 2024-06-20 07: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저축은행 연이은 신용등급 하향 조정
"부동산 PF 관련 리스크, 재무건전성 유지에 부담 요인"
PF 사업장 구조조정 본격화에 충당금 부담 확대 전망
"이미 대비 여력 충분…우려보다는 충격 적을 것"

(게티이미지뱅크)

저축은행들의 신용 등급 강등이 이어지면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재확산할 조짐이다.

금융당국과 시장은 부동산 PF 사업장 구조조정에 따라 추가적인 충당금과 건전성 악화 이슈가 불거질 수 있으나 이미 충분한 대비로 시스템 리스크까지 번질 가능성은 작다고 보고 있다.

19일 금융업권에 따르면 한국기업평가는 최근 오케이저축은행의 기업신용등급을 BBB+(부정적)에서 BBB(안정적)으로 하향했다. 부동산 PF 관련 리스크가 재무건전성 유지에 부담 요인이면서 순이자마진(NIM) 하락과 대손비용 증가로 수익성이 크게 저하된 점이 반영됐다.

키움예스저축은행은 조달비용과 대손비용 증가와 자산건전성이 저하된 가운데 PF 리스크 관리 부담이 지속하고 있다는 점을 들어 BBB+(부정적)에서 BBB(안정적)로, 더케이저축은행에 대해서는 부동산 관련 여신 부실화, 대출 포트폴리오 위험도가 높다고 보고 신용등급으로 BBB(부정적)를 제시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올해 3월 KB·대신·다올·애큐온저축은행의 장기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조정하기도 했다. 조달 및 대손비용 증가, 부동산 PF 익스포저 관련 부담이 주 요인으로 꼽힌다.

저축은행업권 PF 리스크 우려는 커지고 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3월 말 저축은행 PF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말 6.96% 대비 4.3%포인트 뛴 11.26%였다. 금융당국이 올해 부실 사업장 정리를 추진하면서 연체율이 증가한 것으로 해석된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PF 대출액은 총 9조4733억 원이며, 이 중 3개월 이상 연체됐거나 사업성이 부족해 대출금 회수가 어렵다고 판단되는 고정이하 여신은 1조1424억 원으로 집계됐다.

금융당국은 연체율이 높은 저축은행은 이미 충당금을 충분히 쌓아뒀으며, 높은 자본비율을 가지고 있어 추가 손실이 발생해도 관리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금융감독원은 이달 부실채권 비율이 20%를 초과한 저축은행 10곳에 대한 현장점검을 진행하고 부실채권 정리를 유도할 예정이다.

증권업계 역시 높은 PF 연체율을 기록 중이다. 3월 말 기준 증권사 부동산 PF 연체율은 17.57%로 지난해 12월 말 대비 3.84%포인트 증가했다.

금융당국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PF 구조조정 작업에 착수하면서 저축은행과 증권사의 충당금 적립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당국이 5월 발표한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기준개선방안’에 따르면 사업성 ‘부실 우려’ 사업장은 상각이나 경·공매를 통해 정리될 전망이다. 기존 ‘악화 우려’ 사업장의 충당금은 대출액의 30% 수준이었지만, 부실 우려 사업장은 충당금을 75% 수준까지 쌓아야 한다.

추후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면서 충당금 적립이 수익성을 저해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당국은 증권사의 경우 이미 대손충당금이 충분히 대비된 상태로, 부동산 PF 리스크가 시스템리스크로 발전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증권가에서도 과도한 우려는 불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임희연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부동산 PF 구조조정에 따른 건전성 악화와 추가적인 충당금 적립은 불가피할 전망”이라면서도 “이에 따른 충격은 시장 우려보다는 적을 가능성이 크다. 이미 적정 수준의 충당금을 적립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