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화 갈 길 먼 수소차…개소세 감면 연장부터 시작해야

입력 2024-06-19 1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수소차, 지난해 대비 판매량 절반 이하로 ‘뚝’ 떨어져
누적 3만4383대 판매…정부는 2030년까지 30만 대 목표
개소세 감면 혜택 연장 시작으로 화물 부문 보급 늘려야

▲현대자동차 '2024 넥쏘'. (사진제공=현대자동차)

친환경차의 한 축으로 주목받던 수소차(FCEV)의 성장세가 빠르게 둔화하고 있다. 올해 들어서는 수소차 판매량이 급감하는 만큼 수소차 보급을 늘리기 위한 세제 혜택 연장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19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에 따르면 올해 4월까지 국내 시장에 판매된 수소차는 853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 판매량인 2212대의 절반 이하인 38.5% 수준에 그쳤다.

이는 마찬가지로 판매가 줄어들고 있는 전기차보다 더 큰 폭으로 판매가 감소한 수치다. 같은 기간 전기차 판매량은 지난해 2만5053대에서 1만6585대로 줄어들며 전년 대비 66.1% 수준의 판매량을 기록했다.

이처럼 수소차 판매량이 빠르게 줄어들며 정부가 제시한 수소차 보급 목표가 점차 멀어지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해 12월 ‘제6차 수소경제위원회’를 열고 ‘수소전기자동차 보급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상용차를 중심으로 수소차 보급을 확대해 2030년까지 수소차 30만 대를 보급하고 수소충전소는 660기 이상을 구축한다는 목표가 담겼다. 시내버스, 단거리 시외버스, 광역버스 등 2만1000대를 수소 버스로 전환하는 등 빠르게 수소차 보급을 늘린다는 발상이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가 현실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수소충전소 구축은 목표의 절반 가까운 300대 이상 이뤄진 상황이지만 수소차 보급이 크게 뒤처지고 있어서다. 또한 수소차를 활용하기 더욱 적합한 화물·특수 부문에 수소차 보급이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는 점도 문제로 지목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운영하는 수소경제 종합정보포털에 따르면 2018년 이후 지난 4월까지 등록된 수소차는 3만5162대다. 이중 승합, 화물, 특수 등을 제외한 승용 부문의 등록 대수는 3만4383대(97.7%)로, 수소차 보급 확대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승용 부문의 판매량을 유지하면서도 화물·특수 부문의 수소차 보급이 필요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다양한 지원을 통해 수소차 보급을 늘려야 한다고 지적한다. 먼저 올해 말로 예정된 친환경차 개별소비자세 감면 제도를 연장하는 등 승용 부문의 수소차 보급을 유지하기 위한 적극적인 세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지난 17일 엄태영 국민의힘 의원 등 11인은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수소차 등에 주어지던 개별소비세 감면 혜택을 2년 연장하자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조세특례제한법 일부개정법률안’을 국회에 발의하기도 했다. 아울러 승용 외 부문의 수소차 보급 확대를 위한 인프라 구축 등도 과제로 지목된다.

문학훈 오산대 미래전기자동차과 교수는 “아직까지는 개별소비세 감면 연장을 통한 수소차 보급 확대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장기적으로는 수소 트럭 등 화물이나 승합 쪽으로 수소차를 늘리는 방향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