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서울시, 54개 대학에 6500억원 이상 투자…“미래 성장 동력은 대학”

입력 2024-06-18 11: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 내 대학과 함께 글로벌 TOP5 도약
대학 성장 동력 혁신 토대로 대규모 투자
대학 도시계획 혁신 통해 규제 완화 펼쳐

▲오세훈 서울시장이 18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대학과 함께하는 '서울 미래 혁신성장' 계획 관련 기자설명회를 열고 발언하고 있다. 서울시는 글로벌 산학협력을 이끌고 미래 인재를 키우기 위해 5년간 6천500억원을 대학에 투자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서울시가 ‘대학의 경쟁력이 곧 서울의 경쟁력’이라 선언하고 앞으로 5년간 서울 내 54개 대학에 최소 6500억 원 이상의 대규모 투자에 나선다. 대학이 보유한 미래인재와 기술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으로 AI·바이오산업 등을 집중적으로 키우겠다는 목표다. 또 대학 공간에 대한 과감한 규제 완화와 전향적인 도시계획지원으로 국가경쟁력을 끌어올리겠다는 방침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8일 대학 성장동력 혁신, 대학 도시계획 혁신 두 개축을 중심으로 하는 ‘대학과 함께하는 서울 미래 혁신성장 계획’을 발표하며 “최근 ‘한 국가의 번영은 기업과 기술이 만든다’라는 이야기를 자주 드리고 있다”라며 “기업과 기술의 경쟁력을 만들어내는 것은 '인적자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적자원을 공급해주는 곳이 결국 대학”이라며 “대한민국의 심장, 수도 서울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대학이 그 역할을 충실하게 해줘야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계획은 대학의 인적‧연구자원을 서울시의 경제‧산업 정책과 연계하고, 대학의 자발적 혁신을 통해 ‘글로벌 Top 5’ 도시 도약을 앞당기는 것이 핵심이다. 시는 이번 계획에 올해부터 연간 약 1300억 원 이상, 2029년까지 최소 총 6500억 원 이상을 투입한다. 재원은 시비 300억원과 국비(교육부) RISE 사업비 1000억 원 이상으로 충당할 방침이다.

▲서울시가 18일 대학 성장동력 혁신, 대학 도시계획 혁신 두 개축을 중심으로 하는 ‘대학과 함께하는 서울 미래 혁신성장 계획’을 발표했다. (자료제공=서울시)

시는 대학 성장동력 혁신 분야에서 대학이 기술혁신의 전초기지이자, 첨단산업 분야 신기술개발 구심점 역할을 하도록 산학협력 연구개발(R&D) 생태계를 강화하고 혁신한다. 이에 시는 글로벌 산학협력을 이끌 선도대학 42곳을 육성한다.

세부적으로 글로벌 기술이전, 지식재산권 등 고도화된 성과를 창출할 협력대학 12개교를 선정해 600억원을 투입한다. 산학 공동연구, 기술개발 및 사업화, 기업협력센터 브랜드화 등에도 30개교를 선발해 시 경제·산업전략과 연계한다.

현재 양재와 홍릉 중심의 AI·바이오산업지도도 서울 전역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에 AI·바이오산업 분야 혁신대학들로 구성된 컨소시엄 2곳을 선정해 500억 원을 투자한다.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있는 대학 간 시너지를 통해 AI·바이오산업의 발전을 도모한다는 목표다.

또한 서울의 미래를 이끌 핵심 인재 3200여 명을 양성한다. 미래 산업 분야 이공계 석‧박사급 1000명을 키우고, 외국인 고급 인재 1000명을 유치한다. K-콘텐츠 경쟁력을 높일 창조 산업 분야 400명, 전문기술을 양성하는 전문대학 8곳에 200억원을 투자해 고숙련 전문인력 800명도 키울 방침이다.

대학을 혁신 창업의 산실로 키울 계획도 갖고 있다. 2029년까지 서울캠퍼스타운에서 1300개 이상의 대학창업기업을 배출하고 자금투자, 기술 실증, 해외 진출 등 단계적 창업지원 사다리를 연결해 ‘유니콘기업’으로의 성장을 돕는다. 또한 ‘서울비전2030 펀드’와도 연계해 대학창업기업의 발전도 돕는다.

대학 도시계획 혁신…혁신캠퍼스·그린캠퍼스 오픈

▲서울시가 18일 대학 성장동력 혁신, 대학 도시계획 혁신 두 개축을 중심으로 하는 ‘대학과 함께하는 서울 미래 혁신성장 계획’을 발표했다. (자료제공=서울시)

대학 도시계획 혁신 분야에서는 과감한 규제 철폐로 다양한 융복합 연구공간을 확보해 대학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제도적‧행정적 지원을 강화한다. 도시계획 결정 후 인허가 단계의 제약 사항도 합리적으로 개선해 사업실행에 필요한 제도적 뒷받침도 이어 나간다.

우선 첨단·신기술 분야 미래인재 육성과 산·학·연 협력, 창업에 필요한 공간을 신속하고 충분하게 공급해 ‘혁신캠퍼스’를 본격 조성한다. 특히 주차 수요가 높지 않은 대학 특수성을 감안해 부설주차장 설치기준을 기존 200㎡당 1대에서 250㎡당 1대로 완화한다.

미래인재가 연구개발에 몰두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기숙사도 확충한다. 대학‧공공은 물론 민간도 기숙사 공급이 가능해지면서 기숙사 공급량은 늘리고, 용도지역 상향 등으로 기숙사와 지역주민시설을 복합화해 주민복지와 정주 환경을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대학의 물리적‧지적 자산을 시민과 공유하는 ‘오픈캠퍼스’도 실현한다. 우선 대학-지역사회-서울시-자치구가 협력해 강당‧도서관‧연구장비 등 대학 내 시설을 기업과 시민에게 최대한 개방하고, 미술관‧공연장‧아트센터 등 다양한 지역기여시설을 혁신성장구역 등에 새롭게 조성할 예정이다.

대학의 지속가능한 혁신을 위해 ‘그린캠퍼스’ 조성도 추진한다. 여름철 집중 호우 시 ‘10cm 빗물 담기 프로젝트’에 대학이 참여해 기후 위기 등 지역 재난에도 공동 대응하고, 서울 전역을 숲·공원·정원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초록길 프로젝트’에도 대학이 참여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