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전략] 코스피, 美 신고가 경신에 상승 출발…외국인 순매수 업종 주목

입력 2024-06-18 08: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문가들은 18일 코스피 지수가 반등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외국인 순매수가 지속되고 있는 반도체, 자동차, 기계, 화장품 등 업종에 주목할 것을 조언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 미국 증시는 프랑스 정치 불안과 차익 실현 매물 출회 등으로 혼조세로 출발 했지만, 애플(1.97%)이 긍정적인 소식에 강세를 보이자 상승 전환에 성공했다.

여기에 테슬라(5.30%)와 브로드컴(5.41%) 등 개별 종목의 강세가 더해지며 지수 상승 폭을 확대했다. 결국, 시장은 풍부한 유동성을 기반으로 한 개별 종목 쏠림 현상이 특징이며 이러한 요인으로 지수가 강세를 보이자 여타 종목에도 영향을 주는 등 새로운 내용보다는 심리적인 요인에 의해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주식시장은 프랑스 이슈 등을 반영하며 다소 부진한 출발을 했지만, 일부 개별 종목 강세가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다만 이들 대형 기술주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 종목군은 약세를 보였는데 나스닥의 경우 장 중 하락 종목이 상승 종목보다 2배가 많았다. 물론, 장 후반 하락 종목들도 반등에 가담하는 등 대체로 시장 심리는 긍정적으로 보였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 미국 대표 주가지수들이 신고가 행진을 이어가고 있지만, 개별 종목 상승의 확산 온기는 이전에 비해 뜨겁지 않은 모습이다.

이는 1분기 주요국들의 실적시즌 종료 이후 실적 모멘텀 소멸,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에도 연내 1회 인하를 제시하고 있는 연준 위원들의 발언 등이 온기 확산에 제약을 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 과정에서 MS, 애플, 엔비디아 등 시가총액 1위 경쟁을 하고 있는 인공지능(AI) 업체로의 쏠림 현상을 만들어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은 여타 산업에 비해 미래 실적 성장의 가시성이 높은 만큼, 주도 업종으로 지위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은 변하지 않았다.

다만, 미 증시 휴장일인 19일부터 선물옵션 동시만기일, S&P500 지수 및 ETF 리밸런싱이 예정된 21일까지는 쏠림현상이 있는 빅테크 업종의 단기 주가 및 수급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두는 것이 적절하다.

전날 국내 증시는 자동차, 방산 등 수출 업종 동반 강세에도, 지난 금요일 연준 위원들의 매파 발언, 프랑스발 정치 노이즈 등이 전반적인 지수 상단 저항 요인으로 작용하며 소폭 하락 마감했다.

오늘은 프랑스발 정치 불확실성 완화에 따른 유럽 증시 강세, 미국 증시 신고가 경신 등 선진국 증시 호조에 힘입어 반등세로 출발할 전망이다.

또 AI 사업부문 호실적 기대 등에 따른 애플(2.0%), 마이크론(4.6%) 등 AI주 강세, 머스크 보상안 확정 및 중국 시장 판매 회복 기대감 등에서 기인한 테슬라(5.3%) 강세를 감안했을 때, 국내 증시에서도 전일 주가 조정이 컸던 반도체, 이차전지주를 중심으로 반등 탄력이 차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외국인은 6월 이후 17일까지 3조 원 순매수로 전환했으며, 그중 대부분 금액이 지난주에 집중됐던 상황이다.

이는 연준의 통화정책 불확실성 등 매크로 이슈에 상대적으로 충격을 더 받았던 국내 증시가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 6월 FOMC를 양호하게 소화하는 과정에서, 순매수 유인을 다시 높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물론 정부의 공매도 재개 시점이 올해 7월에서 내년 3월로 미뤄졌다는 점은 글로벌 헤지펀드들의 한국 포지션 확대를 제약할 수 있겠으나, 롱 온리 혹은 자산배분 성격의 외국인 투자자들에게는 제한적인 영향만 가할 전망이다.

이를 고려 시 당분간 테마주나 중소형주가 아닌 대형주에서는 외국인들의 매매 방향성에 따라 대형 개별 업종들의 주가 민감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6월 이후 외국인 순매수가 재개 혹은 이전부터 순매수를 지속하고 있는 반도체, 자동차, 조선, 화장품, 기계 업종에 긍정적인 시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