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매수’로 차입금 늘어난 쌍용씨앤이…연말까지 2000억 상환 부담 가중

입력 2024-06-16 08: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쌍용C&E CI.

쌍용C&E(씨앤이)가 공개매수 차입금 여파로 유동성을 투입해야 하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자금 조달에 난항을 겪고 있다. 공모채 발행을 위한 수요예측에서 미매각이 발생하면서다. 신용평가사들은 최대주주인 사모펀드(PEF) 한앤컴퍼니(한앤코)가 앞서 진행했던 공개매수가 쌍용씨앤이의 재무안정성을 악화시키는데 주요했다고 보고 추가 신용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16일 신용평가업계에 따르면 국내 신용평가 3사(한국신용평가·NICE신용평가·한국기업평가)는 쌍용씨앤이의 신용등급을 'A(부정적)'로 모두 같은 평가를 내리고 있다. NICE신용평가와 한국신용평가가 앞서 3월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고, 한국기업평가가 이달 '부정적'으로 조정했다.

'부정적' 등급 전망은 향후 쌍용씨앤이의 신용등급이 'A'에서 'A-'로 하향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쌍용씨앤이에 대한 시장 참가자들의 얼어붙은 투자심리는 지난 13일 진행한 공모채 수요예측에서 드러난다. 1000억 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진행한 수요예측에서 2년물(700억 원)에 380억 원, 3년물(300억 원)에 320억 원 주문을 받으면서 일부 미매각이 발생한 것이다.

이에 따라 개별 민평 수익률 대비 희망밴드 최상단인 +80bp를 가산 금리로 결정해 공모채를 발행할 것으로 보인다. 쌍용씨앤이가 공모채 시장에 문을 두드린 것은 오는 27일 만기가 돌아오는 채무를 상환하기 위함이다. 쌍용씨앤이는 이달 중 300억 원가량의 사모사채를 상환해야 한다. '쌍용씨앤이319'로 2022년 연말에 표면금리 7.9%에 발행됐었다.

문제는 3분기다. 쌍용씨앤이는 9월에만 1550억 원 규모의 공·사모채를 상환해야 한다. 10월에도 400억 원 규모의 공모채를 상환해야 한다. 지난해 4월에 발행됐던 1년6개월물 채권으로 작년에는 표면금리 5.09%에 발행됐었지만, 쌍용씨앤이의 신용등급이 그사이 강등되면서 올해 상환을 위해 발행되는 채권들은 가산금리를 덧붙여야 한다는 게 부채자본시장(DCM) 업계 중론이다.

국내 시멘트업체 1위인 쌍용씨앤이의 신용도가 '부정적'이 된 데는 상장폐지 공개매수 작업의 영향이 크다. 쌍용씨앤이는 완전자회사 편입 및 상장폐지를 위해 잔여지분 자사주 1억25만4756주(20.1%)에 대해 공개매수를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자기주식 매입을 위해 약 3350억 원의 자금을 투입했고, 이 과정에서 1800억 원의 추가 단기차입을 실행했다.

앞서 생산혁신공사 및 환경기업 투자, 대규모 배당지출로 차입부담이 심화된 상황에서 공개매수에 따른 추가 차입, 자기자본 감소 영향으로 부채비율은 작년 말 130.5%에서 1분기 201.7%로 크게 뛰었다. 2022년 말 143.2%에서 감소세를 보이던 흐름이 다시 상승 전환한 셈이다. 차입금의존도도 같은 기간 39.3%에서 49.8%로 증가했다.

쌍용씨앤이의 신용등급 하락 압박이 높아진 가운데 향후 영업현금흐름 확대와 배당 규모 축소가 재무구조 개선의 핵심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시멘트의 경우 수요 감소를 판가 상승이 상쇄하면서 매출 증가가 예상된다. 순환연료시설 구축을 통한 유연탄 대체율 증가도 수익성 개선에 긍정적이다. 탄소배출권 매각은 지난해 10억 원에서 올해 137억 원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반면 배당정책에 따른 자금유출 수준은 여전히 과도하다는 지적이다. 쌍용씨앤이는 2016년 한앤코시멘트홀딩스에 인수된 후 지속적으로 배당정책을 확장해왔다. NICE신용평가는 "최근 몇 년간의 자본적지출과 배당 성향 확대로 저하된 재무안정성을 감안 시 모회사에 대한 배당이 과도하게 지속할 경우 현 신용등급 수준에 부합하는 재무구조 개선에는 시일이 걸릴 것"이라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