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주택금융, 대출 아닌 리츠 활용 방안 연구 중…가격변동 리스크 분산 기대”

입력 2024-06-14 18: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4일 한국금융학회 2024년 정기학술대회 및 특별 정책심포지엄 만찬사
“리츠 활용 ‘에쿼티 파이낸싱’, 새로운 투자상품·주택가격변동 리스크 분산”
“녹색대출 기초자산 유동화증권 ‘그린 CLO’ 발행체계 검토 중”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2024 BOK 콘퍼런스에서 정책대담을 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이창용<사진> 한국은행 총재가 주택금융과 관련해 리츠 활용 방안을 연구 중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14일 열린 ‘한국금융학회 2024년 정기학술대회 및 특별 정책심포지엄 만찬’에 참석해 “주택금융에서 리츠를 활용한 에쿼티 파이낸싱(Equity Financing) 활성화 방안을 연구 중”이라고 말했다.

리츠는 공모를 통해 일반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은 후, 해당 자금을 부동산 또는 부동산과 관련된 유가 증권에 투자한 후 운용 수익을 투자자들에게 배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총재는 “가계부채 비율을 점진적으로 하향 안정화할 필요가 있는데,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대출 중심의 부동산 금융과 밀접하게 연계돼 있어 낮추기가 쉽지 않은 현실입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상황에서 리츠를 활용해 주택구입 자금의 상당 부분을 대출(Debt)이 아닌 에쿼티(Equity) 방식으로 조달한다면 가계부채 비율의 하향 안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며 “지금까지 상업용 부동산 위주로 이뤄졌던 리츠 투자를 주거용 부동산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리츠를 활용한 에쿼티 파이낸싱은 자본시장에 새로운 투자상품을 제공하고, 실수요자인 가계에 집중됐던 주택가격변동 리스크를 분산해 거시건전성 제고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며 “물론 주거용 리츠의 최적 실행방식에 대해서는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이 총재는 녹색대출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유동화 증권인 ‘그린 CLO’ 발행을 통한 녹색금융 활성화도 제안했다.

이 총재는 “친환경투자 요구가 커졌으나 중소기업의 경우 상대적으로 신용도가 낮아 녹색채권 발행 등을 통한 대규모 시설투자자금 조달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한은은 특히 중소기업의 친환경 투자 여력 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그린 CLO’ 발행체계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은행이 기업을 대상으로 취급한 녹색대출을 SPV에 매각하면, SPV는 동 대출을 풀링(pooling)해 대출채권

유동화증권을 발행할 수 있다”며 “그린 CLO 발행이 활성화된다면 중소기업의 친환경 전환을 도울 수 있을 뿐 아니라, 국내 녹색채권 시장 규모가 미미한 상황에서 자본시장에 새로운 투자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이밖에 이 총재는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한은 대출 접근성과 도덕적 해이 △실거래 기반의 무위험 지표금리인 KOFR 활성화 △디지털 전환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앞으로의 과제로 꼽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