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전증 전문 교수들, 집단휴진 불참…“환자 위기 빠트리는 행동 삼가야”

입력 2024-06-14 10:4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분만병의원협회·아동병원협회도 휴진 불참 선언

▲12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앞에서 열린 한국중증질환연합회 주최 서울대병원 휴진 중단 촉구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서울대병원 교수들은 17일부터 무기한 전체휴진을 예고한 상태다. (신태현 기자 holjjak@)

대학병원의 뇌전증 전문 교수들이 18일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주도하는 집단휴진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14일 대학병원 뇌전증 전문 교수들로 구성된 거점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는 “뇌전증은 치료를 중단 시 신체 손상과 사망의 위험이 수십 배 높아지는 뇌 질환으로 약물 투여 중단은 절대로 해서는 안 된다”라며 “뇌전증 환자를 치료하고 있는 의사들은 절대로 갑자기 휴진하면 안 된다”라고 밝혔다.

협의체는 “의협의 단체 휴진 발표로 많은 뇌전증 환자와 가족들은 혹시 처방전을 받지 못할까 불안과 두려움에 떨고 있다”라며 “항뇌전증약은 뇌전증에 대한 지식이 없고, 치료하지 않는 의사들은 처방하기 어렵고, 일반약국에서 대부분 구할 수도 없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단체 휴진으로 처방전을 받지 못하는 뇌전증 환자들이 처방전 없이도 항뇌전증약을 구입했던 약국에서 이전 처방대로 차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라고 요청했다.

협의체는 의사들의 집단행동 예고에 대해 “환자들의 질병과 아픈 마음을 돌보아야 하는 의사들이 완전히 반대로 환자들을 겁주고 위기에 빠뜨리는 행동을 하는 것은 삼가야 한다”라며 “의사들은 잘못이 없는 중증 환자들에게 피해와 고통을 주지 말고, 차라리 삭발하고 단식을 하면서 과거 민주화 투쟁과 같이 스스로를 희생하면서 정부에 대항하는 것이 맞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전공의 사직 후 115일 동안 수많은 중증 환자들과 가족들이 극심한 고통과 피해를 보고 있다”라며 “이제 의대생과 전공의는 빨리 돌아오고 의협 등 의사단체들은 과학적인 근거 수집과 분석으로 정부에 대항해야 한다”라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먼저 아픈 환자들을 살리고 전 세계 정보 수집, 전문가 토론회 및 과학적 분석을 통해 2026년 의대 정원을 재조정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라며 “그렇지 않으면 전 국민의 공분을 피할 수 없고, 나아가 전 세계 의료인과 주민들의 비난을 받게 될 것 같다”라고 거듭 우려를 표했다.

오는 18일 의협이 예고한 집단 휴진에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 전국의과대학교수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 등 교수 단체들이 동참 의사를 밝히면서 환자들의 피해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전날까지 분만병의원협회와 대한아동병원협회 등 일부 의사 단체들이 진료 유지 방침을 결정하고 환자 곁을 지키겠다고 발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