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 휘는 해상 물류비…정부, 신조 컨테이너선 7척 투입 등 대책 마련

입력 2024-06-14 09: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해상운임 상승에 따른 수출입 해상 물류 지원 대책' 긴급 시행
미주‧중동 노선에 국적선사 HMM 임시선박 3척 긴급 투입
수출 바우처 202억 원 조기 집행 및 중소·중견기업 전용 선복 1685TEU 공급

▲1만1000TEU급 컨테이너선 HMM 블레싱호의 모습. (사진제공=HMM)

정부가 해상물류 운임비 급등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조 컨테이너선 7척을 투입하는 등 긴급 지원 대책을 가동한다.

정부는 14일 제42차 경제관계차관회의에서 '해상운임 상승에 따른 수출입 물류 영향 및 대응 방안'을 안건으로 상정하고, 수출입 해상 물류 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최근 해상물류 운임비가 지속 상승함에 따라 향후 선복 부족 가능성 등에 대비하고 강건한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는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번 대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산업부에 따르면, 해상 운임 수준을 나타내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해 평균 1000포인트(P) 수준이었으나 올해 4월 19일 1770P, 26일 1941P까지 등락을 거듭하며 상승하다 지난달 31일 기준 3044.77P 기록하며, 2022년 8월 이후 1년 9개월 만에 3000선을 돌파했다. 5월 한 달 동안에만 50%가량 뛰어 올랐다.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뉴시스)

정부는 수출입 물류 영향을 점검한 결과 현재까지 수출품 선적 등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인 수준이나, 희망봉 우회로 인한 운송 지연 및 해상운임 상승에 따른 수출기업들의 부담은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이에 정부는 향후 선복 부족 가능성에 대비해 국적선사 HMM을 통해 6~7월 중 물동량 수요가 높은 미국 서안, 동안 지역을 비롯해 중동 지역에 3척의 임시선박을 긴급 투입할 계획이다. 규모는 총 0.9만 TEU(1TEU는 길이 20피트 컨테이너 1개) 수준이다.

또한, 하반기 중으로 대형 신조 컨테이너선 7척(총 7만 TEU 규모)을 미국 서안(13K 컨테이너선 5척) 및 동남아(1.8K 컨테이너선 2척) 등 주요 노선에 투입하고, 항차당 1685TEU 규모의 중소·중견기업 전용선복 공급을 추진하는 등 국적선사와의 협력을 통해 우리 수출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수출기업의 운임비 부담 경감과 유동성 지원을 위해 물류비 지원이 가능한 수출 바우처 하반기 지원분 202억 원을 조기에 집행하는 한편, 향후 운임비 상승 추이를 고려해 필요시 추가 물류비 지원방안을 검토한다.

또한, 대금결제 지연 등에 대비해 수출신용보증 보증 한도 우대, 보험금 신속 지급 등의 지원 대상과 시행 시기를 확대한다.

아울러, 부산항 신항 인근 부지에 시중 대비 저렴한 요금 수준의 컨테이너 공용장치장 규모를 추가(700TEU)할 계획이다.

정부는 동향 모니터링과 신속한 대응을 위해 수출입 물류 비상대응반을 지속해서 운영하는 동시에 수출비상대책반 중심으로 애로 발굴·해소를 지원하고, 코트라·무역협회 내 정보제공·애로 접수 창구를 운영한다.

접수 창구는 코트라의 경우 홈페이지와 1600-7119로, 무역협회는 무역협회 수출입물류포털과 02-6000-5754 등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최근 운임비 상승 추이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큰 만큼 관계부처 협업을 통해 국적선사 전용선복 지원 등 이번 대책을 신속하고 차질 없이 이행하겠다"라며 "물류 리스크 적기 대응을 통해 강건한 수출 호조세를 이어갈 수 있도록 민관이 원팀이 돼 최선의 노력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