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 ‘정용진’의 신세계, 어떻게 바뀌었나 [정용진號 출범 100일]

입력 2024-06-13 18: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 (사진제공=신세계그룹)

암울한 업황ㆍ실적 부진 속 오너일가 불협화음 없이 회장 승진
'원톱' 체제 강화 고강도 쇄신 호응…실적 반등 이어질까 관심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이번 주 회장 취임 100일을 맞는다. 부회장 선임 18년 만에 회장 직책을 맡게 된 데다 업황과 그룹 내 분위기가 다소 암울했던 만큼 일찌감치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했던 상황. 어느 때보다 무거운 발걸음 속 정 회장은 고강도 쇄신과 성과주의를 앞세우며 내부 긴장감을 높이는 한편 최저가 전략과 협업 등을 통해 고객을 확보하고 수익성에 힘을 싣는 등 눈코 뜰 새 없는 3개월을 보냈다.

13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정 회장은 3월 8일 공식 취임한 이후 이번 주 토요일(15일)이면 회장으로 선임된 지 만 100일이 된다. 당시 신세계 측은 “날로 경쟁이 치열해진 유통시장에서 훨씬 다양한 위기요인이 쏟아지고 있는 만큼 (그룹을 이끌) 보다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정 회장을 중심으로 급변하는 환경을 정면돌파하려 한다”며 선임 배경을 밝혔다.

이마트와 신세계 지분을 동일하게 보유하고 있는 '신세계 남매'의 지분구조에는 변화가 없지만 이번 승진과 함께 오빠인 정 회장의 실질적인 그룹 장악력은 높아졌고 그룹 내 총괄 역할도 강화됐다. 이는 재계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오너일가 경영권 분쟁과는 다소 대조적인 대목이다. 모친인 이명희 신세계 총괄회장이 정 회장의 경영권과 그룹 장악력에 힘을 실어주면서 별다른 불협화음 없이 오빠인 정 회장 '원톱' 체제로 공고화됐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그렇다고 승진을 마냥 반길 수 있는 분위기는 아니었다. 그룹사 실적 하락과 업황 악화 등 곳곳이 살얼음판인 상황에서 어떻게든 이를 반등시켜야 하는 무거운 과제를 안게 됐기 때문이다. 주력 계열사인 이마트는 지난해 창사 첫 적자(영업손실 469억 원)를 기록했다. '유통업계 1위'라는 명칭이 무색하게 이커머스 업체인 쿠팡(31조8000억 원)에게 매출(29조4000억 원)로도 역전당하는 수모도 맛봤다. 계열사인 신세계건설도 부채비율 900%를 웃돌며 유동성 악화에 직면했다.

정용진 원톱 체제가 시작된 이후 신세계 내부의 조직 재편 역시 속도전에 돌입했다. 전폭적인 투자와 과감한 결정을 통해 신세계 강남점의 고급화 전략을 한층 강화시켰고 대형 이커머스 공세에 대응하기 위해 범삼성가인 CJ와의 물류 MOU를 통해 맞대응에 나섰다. 이밖에도 경기권과 광역시 등 각지에 스타필드를 신규 구축하는 등 외연을 확장하는 한편 성과에 입각한 인적쇄신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