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펜테크 “디지털 솔루션으로 수익성·지속가능성 달성”

입력 2024-06-13 15:1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석유·화학·건설 산업 분야의 에너지 전환 지원
“수익성과 지속가능성 동시 달성하는 솔루션 제공”

▲비카스 돌 지속가능성 IBU 사업본부장이 13일 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열린 미디어 라운드 테이블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아스펜테크)

“전 세계는 자원에 대한 수요 증가와 지속가능성 달성이라는 ‘이중과제’에 직면했다. 아스펜테크는 두 가지 목표를 다 해결할 수 있는 디지털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산업용 소프트웨어 분야를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 아스펜테크는 13일 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미디어 라운드 테이블을 개최하고 효율적인 에너지 전환 기술과 전략을 발표했다.

라샤 하사닌 아스펜테크 CPSO(Chief Product and Sustainability Officer·최고 제품 및 지속가능 책임자)는 “기존 산업은 자원을 확보하고 소비한 뒤 폐기물을 버리는 선형적인(linear) 방식으로 움직여왔다”며 “지속가능성과 탄소중립을 위해선 현재의 인프라를 바꿔 ‘순환경제’를 이뤄야 한다”고 말했다.

하사닌 CPSO는 “디지털 솔루션은 여러 산업을 연결해 순환성을 확보한다”며 “예를 들어 화석연료를 사용한 뒤 발생한 부산물을 버리는 게 아니라 재처리해서 다른 산업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스펜테크는 이러한 디지털 솔루션 기술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투자 비용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으로 탄소 감축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업용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전 세계 3000개 이상의 고객을 둔 아스펜테크는 매년 590억 달러의 수익을 제공하고, 정유업에서만 1600만 메트릭톤(Mt)의 탄소를 저감했다.

비카스 돌 지속가능성 솔루션 부문 사업본부장은 “인구가 증가하고 생활수준이 개선되면서 자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동시에 각 산업과 국가에서는 공격적으로 지속가능성을 달성해야 하는 이중과제에 직면했다”고 짚었다.

아스펜테크에 따르면 2050년까지 인구는 97억 명으로 증가하고, 같은 기간 에너지 수요는 34%, 화학 제품 수요는 300% 각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말 열린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선 200개국이 연간 에너지 효율을 2배 높이고,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을 3배 늘리겠다고 서약했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필요한 연간 설비투자(CAPEX)는 4조 달러 이상, 재생에너지 생산설비를 늘리기 위한 그리드 인프라 투자에는 3조 달러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비카스 돌 본부장은 “아스펜테크의 소프트웨어는 자산의 초기 설계부터 운영, 유지보수까지 생애주기 전반을 관리할 수 있다”며 “산업용 인공지능(AI)을 집중적으로 활용해 자산 데이터를 자체 학습함으로써 시스템의 신뢰성과 확정성을 확보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통해 고객들이 탈탄소, 궁극적으로는 탄소중립에 이르는 여정을 빠르고 최적화해 준다”며 “기업들은 투자에 대한 투자수익률(ROI)을 높이고, 탄소 배출은 줄이면서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스펜테크는 현재 에쓰오일, LG화학, 두산 등 국내 기업뿐만 아니라 아람코, 쉐브로 등 글로벌 석유·화학·건설 분야 기업과 협업하며 자산에 대한 수익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하사닌 CPSO는 “에너지 집약적 산업은 탄소 배출량이 많고 산업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이 환경을 잘 관리하기 위해선 소프트웨어와 디지털 솔루션이 필요하다”며 “재생에너지의 경우 일관성이 떨어지고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더욱 커진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글로벌 산업용 소프트웨어 기업 아스펜테크는 13일 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미디어 라운드 테이블을 개최했다. 왼쪽부터 김흥식 한국 지사장, 라샤 하사닌 CPSO, 비카스 돌 지속가능성 IBU 사업본부장. (사진제공=아스펜테크)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