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카자흐, MOU 등 37건 협력 체결...핵심광물 공급망 파트너십 강화

입력 2024-06-13 08:4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카자흐스탄을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대통령궁에서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과 공동언론발표를 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카자흐스탄 국빈 방문에서 양해각서(MOU) 등 총 37건의 협력문서를 체결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12일(현지시간) 카자흐스탄 수도 아스타나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서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 협력을 이어갈 제도적 기반이 강화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차장은 "양국은 플랜트·인프라 분야에서도 우리 기업 진출 확대하기 위한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며 "카자흐스탄 주요 국책 사업에 우리 기업들이 활발히 참여할 수 있는 길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카자흐스탄은 원전 도입에 대한 국민투표를 실시할 예정"이라며 "향후 원전 사업을 진행할 경우 우리 기업이 참여해 에너지 전환 정책에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공급망 확보를 비롯해 경제안보 파트너십을 더 강화하기로 했다. 김 차장은 "핵심 광물 공급망 MOU를 통해 전 주기적 협력을 강화한다"며 "경제성이 확인되는 광물의 개발과 생산에 한국 기업이 우선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이번 국빈 방문을 계기로 모두 35건의 양해각서(MOU)와 합의문 1건, 합의의사록 1건 등 총 37건의 협력 문서를 체결했다. 두 정상의 임석하에 11건, 양국 경제인들이 참여하는 한-카자흐 비즈니스 포럼에서 22건의 MOU가 나왔다. 최대 성과는 핵심 광물 공급망과 에너지·인프라 사업 관련 MOU가 꼽힌다.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 파트너십 MOU와 리튬 광산 탐사 개발을 위한 MOU, 희소금속 상용화기술 MOU 등이 이뤄졌다.

안보 문제에 대해선 "양국은 서로 굳건한 핵 비확산 기조를 재확인하고, 북한의 비핵화에 관한 긴밀한 협력을 약속했다"면서 "카자흐스탄은 대한민국 정부의 담대한 구상에 대한 전폭적인 지지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또 "러시아·중국·미국과 같은 강대국의 지정학적 이익이 교차하는 중앙아시아에서 균형적인 외교를 추진하는 카자흐가 북한 비핵화에 대한 분명한 입장과 함께 우리나라와 동일한 안보 공조 의지를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진 브리핑에서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광물협력과 관련해 "핵심 광물 공동탐사 결과 경제성이 발현되면 한국기업이 우선적으로 참여하게 합의됐다"고 강조했다.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 우리나라 기업의 성과도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박 수석은 "2023년 카자흐스탄의 신차 판매량을 보면 현대·기아차가 7만2000대 판매해 전체의 36.3%를 점유한다"며 "올해 하반기 연 7만 대 생산 규모의 기아차 조립공장이 준공되면 한국 자동차의 카자흐스탄 시장 점유율이 더 높아질 것"이라고 했다.

양국 간 항공편도 확대된다. 박 수석은 "카자흐 코로나19로 중단됐던 아스타나 인천 노선을 6월에 재개하고, 우리나라 티웨이 항공이 인천-알마티 구간을 주 2~3회 취항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