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마켓 모닝 브리핑] 연준 “올해 1회 금리인하”…나스닥·S&P 3일째 사상 최고치

입력 2024-06-13 08:2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모니터에 12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치고 기자회견을 하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모습이 나오고 있다. 뉴욕/로이터연합뉴스

뉴욕증시 마감

뉴욕증시는 12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점도표에서 올해 기준금리 인하 횟수 전망을 종전 3회에서 1회로 줄였지만,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감이 투자심리를 지탱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5.21포인트(0.09%) 내린 3만8712.21로 종료, 보합세를 나타냈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3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S&P500지수는 45.71포인트(0.85%) 상승한 5421.0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64.89포인트(1.53%) 오른 1만7608.44에 마감했다.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치고 낸 성명에서 예상대로 금리를 현행 연 5.25∼5.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날 발표한 경제전망에서 연내 금리인하 전망을 기존 3회에서 1회로 낮췄다.

이러한 ‘매파’적인 결정에도 시장은 같은 날 공개된 소비자물가 둔화에 안도했다. 이날 미 노동부는 5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3.3%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4월 상승률(3.4%) 대비 줄었다. 이로 인해 연초부터 고려됐던 물가에 대한 우려가 후퇴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FOMC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이 상당히 완화되었지만 여전히 너무 높다”면서 “물가상승률을 연준 목표인 2%로 낮추는 데 예상보다 더딘 진전으로 인해 금리 인하 기대감이 밀려났다”고 설명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 툴에 따르면 시장이 바라보는 9월 0.25%포인트(p) 금리인하 가능성은 전일 46.8%에서 61.5%로 높아졌다.

국제유가

국제유가는 미국 인플레이션 완화에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7월물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일 대비 0.60달러(0.77%) 오른 배럴당 78.50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8월물 브렌트유는 0.68달러(0.83%) 증가한 배럴당 82.60달러로 집계됐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지난주 원유 재고가 373만 배럴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또 이날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올해 세계 석유 수요 증가 전망치를 기존 하루 110만 배럴에서 96만 배럴로 하향 조정했다.

BOK파이낸셜의 데니스 키슬러는 월스트리트저널(WSJ)에 “2030년까지 대규모 석유 잉여 현상이 일어날 것이라는 IEA의 주장은 유가에 부정적”이라면서도 “트레이더들은 글로벌 정유 수요가 여전히 존재하고 전기차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보기 때문에 이를 신중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럽증시 마감

유럽증시는 미국 인플레이션 지표가 예상보다 둔화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상승 마감했다.

범유럽 주가지수인 스톡스유럽600지수는 전일 대비 5.60포인트(1.08%) 오른 522.89에 마감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증시 DAX30지수는 260.92포인트(1.42%) 오른 1만8630.86에, 영국 런던증시 FTSE100지수는 67.67포인트(0.83%) 상승한 8215.48에, 프랑스 파리증시 CAC40지수는 75.49포인트(0.97%) 높은 7864.70에 거래를 마쳤다.

뉴욕금값 마감

국제 금값이 연준 FOMC 결과를 소화하며 상승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거래의 중심인 8월물 금은 전장보다 28.2달러(1.2%) 오른 온스당 2354.8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원자재 리서치그룹 CPM의 제프리 크리스천 매니징 파트너는 “연준이 금리를 인하하지도 인상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금을 포함한 덜 위험한 자산으로 이동하면서 가격이 올랐고 차익실현이 시작됐다”고 분석했다. 이어 “연준이 제시한 인플레이션 전망은 상당히 보수적인 전망으로 향후 데이터에 의해 입증되지 않을 수 있고 수정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가상자산

주요 가상자산 가격은 상승했다.

미국 가상자산 전문 매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한국시간 13일 오전 8시 15분 현재 24시간 전보다 1.02% 상승한 6만8183.0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더리움 가격은 1.76% 오른 3564.96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바이낸스코인은 2.78% 높은 619.99달러에, 리플은 2.16% 뛴 0.49080282달러에 거래됐다.

뉴욕 외환시장

미국 달러화 강세가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다. 미국 물가지표가 예상을 밑도는 것으로 집계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뉴욕 외환시장에서 6개 주요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 대비 0.52% 하락한 104.68을 나타냈다.

유로·달러 환율은 0.05% 상승한 1.0814달러를 나타냈고, 파운드·달러 환율은 0.2% 내린 1.2796달러에 마감했다. 달러·엔 환율은 0.02% 하락한 156.69엔으로 집계됐다.

미국 노동부는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3.3%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4월 상승률(3.4%)과 같은 수준을 나타낼 것이라는 시장 전망을 밑도는 것이다. 특히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 3.4%, 전월 대비 0.2% 각각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역시 전문가 전망치를 각각 0.1%포인트(p)씩 밑도는 결과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