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CEO도 힘싣는 '트래블카드'…과열 경쟁에 효과는 ‘미지수’

입력 2024-06-13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함영주 '트래블로그' 행사 직접 참석
정상혁 '신한은행'ㆍ문동권 '신한카드'
농협, 내달 해외여행 특화카드 출시
카뱅 이달 중 무료 환전 서비스

▲조현호 기자 hyunho@

금융권이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해외여행 수요를 사로잡기 위해 외환 서비스에 공을 들이고 있다. 신규 고객 확보와 동시에 해외결제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방안이지만 출혈경쟁으로 효과는 미미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NH농협은행은 다음 달 해외여행 특화카드를 출시할 계획이다.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도 이달 중 무료 환전을 장착한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우리금융그룹은 이달 10일 해외여행 특화 카드인 ‘위비트래블 체크카드’를 내놨다. 이미 관련 서비스를 출시한 KB·신한·하나금융에 이어 우리금융까지 가세하면서 4대 금융지주의 여행 특화 서비스 경쟁은 더욱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금융지주 회장과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들까지 트래블카드 지원에 나섰을 정도다.

▲4일 하나은행 을지로 본점에서 열린 트래블로그 서비스 500만 돌파 기념행사에 참석한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사진 가운데), 이승열 하나은행장(사진 왼쪽에서 네 번째), 이호성 하나카드 대표이사(사진 왼쪽에서 여섯 번째)가 손님께 감사메시지를 전하는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하나금융)

해외여행 특화카드 시장의 선두주자인 하나금융그룹의 함영주 회장은 ‘트래블로그’ 행사에 직접 참석했다. 이달 4일 열린 트래블로그 고객 500만 명 기념행사를 둘러본 함 회장은 하나은행·카드의 성공적인 협업 사례를 극찬하기도 했다. 함 회장이 트래블로그에 힘을 실어준 만큼 하나카드는 기존 디지털전략본부 내 ‘하나머니사업부’를 ‘트래블로그부’로 바꿔 전사적인 역량을 동원할 방침이다.

▲정상혁 신한은행장(오른쪽)과 문동권 신한카드 사장(왼쪽)이 4월 15일 신한은행 본점에서 '신한 SOL트래블 체크카드' 발급 50만번째 고객에게 샌프란시스코 왕복항공권과 미국 MLB 관람권을 증정했다. (사진=신한은행)

신한금융에서도 정상혁 신한은행장과 문동권 신한카드 사장이 ‘홍보대사’를 자처했다. 이들은 직접 ‘쏠(SOL) 트래블 체크카드’를 소개하며 홍보에 나서고 있다. KB금융지주는 KB계열사 해외 주재원과 출장자에게 ‘트래블러스 체크카드’ 이용을 권고한 상태다.

금융사 CEO까지 직접 나서서 트래블 카드를 공략하는 이유는 해외여행 수요가 늘어나는 가운데 젊은 고객층과 해외결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해외 여행객 수는 올해 1분기에만 742만 명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약 50% 이상 신장했다. 2022년 1분기 498만 명이었던 해외 여행객 수는 매 분기 80만 명 가까이 늘고 있다.

하지만 해외 특화카드 열풍에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출혈경쟁으로 금융사의 역마진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사들은 서비스 경쟁력 확보를 위해 외화 환전 수수료와 자동화기기(ATM) 수수료 등 각종 수수료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새로운 수익 창출은 찾지 못한 상태다.

실제 환전수수료 수익은 쪼그라들었다. 올해 1분기 4대 시중은행의 환전수수료 수익은 약 380억9000만 원으로 직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426억3000만 원)보다 10.6% 감소했다.

이성복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고객 특화 전략으로 트래블 카드 서비스는 유의미하지만 출시하는 경쟁사가 많아질수록 효과는 빠르게 절감하고 있다”며 “새로운 수익 창출 여부가 확실히 드러나지 않고 단기적인 시장점유율 확보를 위한 출혈 경쟁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이미 레드오션이 된 트래블 카드 시장에서 서비스의 차별성도 없어질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이 연구위원은 “트래블 카드 서비스의 차별성은 무의미해지고 궁극적으로 서비스 구조에 따라 경쟁력이 좌우될 것”이라며 “고객의 편리성 측면에선 독립적 플랫폼 기반의 선불 충전 방식이, 사업자 측면에선 외화통장과 체크카드 방식이 유리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무료 서비스로 알려져 있으나 사실상 고객이 부담하는 수수료가 존재하는지 점검이 필요하다”면서 “예치금 무이자, 재환전 수수료, 연회비 등 소비자에게 불리한 거래조건을 명확하게 설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