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전대 민심반영 비율 20·30% 고심…'원톱' 지도체제 유지 [종합]

입력 2024-06-12 14:1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비대위원장-중진 간담회…전대 민심반영 비율 논의도

▲국민의힘 여상규 당헌당규개정 특위위원장이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당헌 당규 개정 관련 결정사항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차기 지도부 선출 방식에 일반 국민 여론조사도 포함하기로 했다. 여론조사 반영 비율은 20%, 30% 두 가지 안 중에 선택하기로 했다. 현행 '원톱' 지도체제와 당권·대권 분리 규정도 유지한다.

국민의힘 당헌·당규 개정 특별위원회는 12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전당대회 규칙, 지도체제 전환 여부, 당권·대권 분리 규정 개정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결정했다. 이번 결정은 비상대책위원회 논의, 전국위원회 의결을 거친 당헌·당규 개정에 따라 적용된다.

여상규 당헌·당규 개정 특위 위원장은 이날 회의 종료 후 브리핑에서 "100% 당심에 따라 결정하는 당 대표 선출에 민심을 반영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였다는 데 그 뜻이 크다. 20%, 30%는 민심을 반영하기로 한 이상 큰 차이는 없다"고 했다.

브리핑에 따르면 특위 내에서는 △20% 반영(3명) △30% 반영(3명) △중립(1명) 등 여론조사 반영 비율 여론이 있었다. 이를 취합해 여 위원장은 20%·30% 안이 반영된 당헌·당규 개정안 초안을 비대위에 제출하기로 했다. 사실상 특위가 민심 반영 비율을 결론 내리지 못하고, 비대위에 넘긴 셈이다.

황우여 비대위원장과 당 중진 의원들은 당헌·당규 개정 특위 회의 이후 전당대회 때 적용할 민심 반영 비율 등을 논의하기 위해 국회에서 만났다. 당 의원총회 도중 마련한 비공개 중진 간담회에서는 다양한 의견이 나온 것으로 전해진다.

나경원 의원은 간담회 전 기자들과 만나 "늘 상황에 따라 (민심 반영하는 것에 대한) 의미가 달라진다. 100% 당심 반영 룰을 만든 이유가 있고, 이번에 민심을 넣자는 것이 저희 생각이고, 20%, 30%로 하자고 했다"며 "룰이라는 것이 어떤 것이 맞느냐는 여러 가지 전당대회 상황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맞다"고 했다.

현행 단일지도체제를 유지하기로 한 데 대해서는 "지금은 워낙 비상 상황이기 때문에 단일지도체제가 맞다"고 답했다.

권영세 의원은 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나 당헌·당규 개정 특위가 민심 반영 비율을 결정하지 못한 데 대해 "비대위에서 결정하라고 올린 것 같다. 중진 의원 의견을 묻는 과정"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여 위원장도 브리핑에서 특위가 민심 반영 비율을 결정하지 못한 데 대해 "특위에서도 굉장히 격론 끝에 두 안을 공동으로 했다. 비대위는 이를 참고해 최종 결론을 내리고, 전국위원회에서 의결하면 당헌·당규가 개정된다"고 했다.

민심 반영 비율을 정하는 논의에 '중립' 의견이 나온 데 대해서는 "당심과 민심을 균형 있게 반영하는 이 안도, 저 안도 좋다는 의견"이라며 "어느 쪽도 안 된다는 의견은 아니다. 더불어민주당도 25% 민의를 반영하는데, 책임당원 입장을 고려하면 민심 반영 비율을 정하는 건 상당히 어려운 문제"라고 설명했다.

특위는 지도체제, 대권·당권 분리, 결선투표제, 역선택 방지 조항 등은 현행 제도를 유지하기로 했다. 지도체제를 바꾸지 못한 데 대해 여 위원장은 "전당대회 즈음에 짧은 기간 동안 활동하는 특위가 결정하기보다 새 지도부가 시간을 갖고 충분히 심도 있는 논의를 해 결정하는 게 타당하다는 게 다수 의견"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새 지도부에서 (논의)해달라고 했다"고 덧붙였다.

당 대표 결선투표제는 현행 단일지도체제가 유지됨에 따라 바꾸지 않기로 했다. 선출직 당직자가 대통령 경선 후보로 출마할 때 '1년 6개월 전 당직 사퇴'라는 이른바 당권·대권 분리 규정도 유지하기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