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전북 부안군, 올해 최대 4.8 규모 지진 발생…"유리창 쨍그랑"

입력 2024-06-12 13:45수정 2024-06-12 14: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년 만에 4.5 규모 지진 발생
유리창 깨짐 등 신고 300여건
한수원 “한빛 원전 이상 없어”

▲12일 오전 8시 26분 49초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 지점에서 규모 4.8 지진이 발생했다고 기상청이 밝혔다. (연합뉴스)

전라북도 부안군 남남서쪽 4㎞ 지점에서 규모 4.8 지진이 발생했다. 이번 지진은 올해 한반도와 주변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 중 가장 큰 규모로, 해당 지역에서는 유리창이 깨지고 벽이 갈라지는 등 피해가 발생했다. 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는 기관별 위기관리 매뉴얼에 따라 재난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12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26분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 지점에서 규모 4.8 지진이 발생했다. 진앙은 북위 35.70도, 동경 126.71도다. 진원의 깊이는 8㎞로 추정됐다.

이번 지진은 올해 한반도와 일대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 중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에서 규모 4.5 이상 나타난 것은 지난해 5월 15일 강원 동해시 북동쪽 52㎞ 해역에서 4.5 규모 지진이 발생한 뒤 1년여 만이다. 역대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 중에서는 7번째로 강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진이 최초로 발생한 뒤 이날 오후 2시 기준 총 15차례의 여진이 이어졌다. 특히 오후 1시55분께 발생한 15번째 여진은 규모 3.1를 기록했다. 규모 3.1 여진으로 진앙 반경 50㎞ 내 지자체에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되기도 했다.

▲12일 오전 전북 부안군에서 4.8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자 김제 한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교실을 빠져나와 운동장에 모여 있다. (연합뉴스)

특히 전북 부안군을 포함해 광주·전남·충남 등 일대 지역에서는 지진으로 인해 시민들이 공포에 떨어야 했다. 흔들림의 정도를 나타내는 계기 진도는 전북에서 최대 Ⅶ(7), 광주·전남·충남에서 Ⅳ(4), 경기·경남·경북·대전·세종·충북에서 Ⅲ(3)으로 관측됐다.

소방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기준 유감신고는 전국적으로 309건이 접수됐다. 세부적으로는 전북 77건, 충남 43건, 충북 41건, 경기 49건 등이다.

부안군 내에서는 주택 유리창과 벽, 화장실 타일이 깨지는 등의 신고가 접수됐다. 또 지하주차장이 바닥이 들뜨고 창고에 금이 갔다는 신고도 잇따랐다. 지진으로 인해 학교 일부에서 균열이 발생해 전북과 전남 등에 소재한 4개 학교도 휴업을 결정하기로 했다. 충북과 전북의 학교에서는 단축 수업을 진행하는 등 일정을 조정한 학교도 8곳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진 위기경보 ‘경계’ 단계 발동…“원전 이상 無”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12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4.8의 지진과 관련, 현황과 대비태세를 점검하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국빈 방문 중인 카자흐스탄에서 국내에서 발생한 지진 소식을 접하고 재난 대응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긴급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이번 지진과 관련한 관계부처에 “국가기반시설 등에 대해 피해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안전점검을 하는 등 제반 조치를 취해 달라”고 지시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날 오전 8시 35분께 비상 1단계를 가동하고 지진 위기경보 '경계' 단계를 발령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도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전체 상황관리를 철저히 하고, 추가 여진 등에 대비해 위험징후 감지 시 위험지역 국민이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행동요령을 안내하라고 했다.

한편 진앙지와 42㎞ 떨어진 한빛 원전 등 전국 원전 가동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빛원자력발전소는 안전 알림 문자 메시지를 통해 “지진과 관련해 발전소에 미친 영향은 없으며 현재 가동 중인 발전소는 모두 정상 운전 중”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