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전대 민심반영 비율 20·30% 제안…지도체제 현행 유지

입력 2024-06-12 11: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민의힘 여상규 당헌당규개정 특위위원장이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당헌 당규 개정 관련 결정사항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차기 지도부 선출 투표에 일반 국민여론조사를 반영하기로 했다. 기존 당원 투표 100%에서 일반 국민 여론도 당 대표·최고위원 선출 과정에 담기로 한 것이다.

다만 여론조사로 반영하는 비율은 20%, 30% 두 가지 안을 두고 논의했으나 결론 내지 못했다. 당권·대권 분리 규정과 지도체제도 현행대로 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내달 23일 또는 24일 열릴 전당대회에서는 당 대표·최고위원을 각각 분리해 선출하게 된다.

국민의힘 당헌·당규 개정 특별위원회는 12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당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규칙, 당권·대권 분리 규정 개정, 지도체제 전환 여부 등에 대해 논의한 뒤 이같이 결정했다.

먼저 여론조사 반영 비율과 관련, 특위는 △20% 반영(3명) △30% 반영(3명) △중립(1명) 입장으로 좁혔다. 이에 따라 민심 반영 20%·30% 안이 반영된 당헌·당규 개정안 초안을 당 비상대책위원회에 제출하기로 했다. 사실상 특위가 당 대표·최고위원 선출 시 민심 반영 비율을 결론 내리지 못하고, 비대위에 넘긴 셈이다.

여상규 특위 위원장은 이에 대해 "(기존) 100% 당심에 따라 결정하는 당 대표 선출에 (이제는) 민심을 반영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였다는 데 그 뜻이 크다. 20%, 30%는 민심을 반영하기로 한 이상 큰 차이는 없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특히 민심 반영 비율을 정하는 논의에 '중립' 의견이 나온 데 대해 여 위원장은 "당심과 민심을 균형있게 반영하는 이 안도, 저 안도 좋다는 의견"이라며 "어느 쪽도 안 된다는 의견은 아니다. 더불어민주당도 25% 민의를 반영하는데, 책임당원 입장을 고려하면 민심 반영 비율을 정하는 건 상당히 어려운 문제"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난 총선에서 우리 당이 패배했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민심 반영 비율을 높이는 게 좋지 않겠냐는 의견이 있어서 그분들은 30% 안에 찬성했다. 100% 당심으로 결정하던 (당 지도부) 선출을 20%라도 민심을 반영했다는 점에서 특히 책임당원 역할도 상당히 중요하게 다뤘다는 관점에서 민심·당심을 균형 있게 반영했다는 점을 다 볼 수 있다"고 부연해 설명했다.

향후 민심 반영 결정 과정에 대해 여 위원장은 "특위에서도 굉장히 격론 끝에 두 안을 공동으로 했다. 비대위는 이를 참고해 결론을 내리고, 전국위원회에서 의결하면 당헌·당규가 개정된다"고 전했다.

이어 "전당대회 일정이 7월 23일, 24일 (즈음) 결정돼 가고 있기에 비대위도 (당헌·당규 개정 등을) 지체할 수 없을 것"이라며 "비대위에서 성원 됐다고 확정되는 게 아니라 전국위에서 의논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바쁠 것"이라며 덧붙였다.

특위는 현행 단일지도체제, 복수지도체제(2인 지도체제), 집단지도체제 등을 논의했으나 결론 내리진 않았다. 여 위원장은 "전당대회 즈음에 짧은 기간 동안 활동하는 특위가 결정하기보다 새 지도부가 시간을 갖고 충분히 심도 있는 논의를 해 결정하는 게 타당하다는 게 다수 의견"이라고 결론 내리지 못한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소위 2인 지도체제 그 부분은, 지금 단일지도체제로 가니까 총선 (패배)와 같은 특별한 현안이 있을 때 당 대표가 책임져야 하니까 당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당 대표 궐위 시 대행할 수 있는 지도체제는 지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좋은 안"이라며 "새 지도부에서 (논의)해달라고 했다"고 강조했다.

한편 특위는 당 대표 결선투표제도 현행 단일지도체제가 유지됨에 따라 바꾸지 않기로 했다. 선출직 당직자가 대통령 경선 후보로 출마할 때 '1년 6개월 전 당직 사퇴'라는 이른바 당권·대권 분리 규정도 유지하기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