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B "올해 세계경제 2.6% 성장…미국 2.5% 견조"

입력 2024-06-11 22:4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월 전망대비 0.2%p 상향…중국 0.3%p↑

▲중국 동부 안후이성 우후 주자차오항구에 있는 컨테이너 터미널 전경. 우후(중국)/신화뉴시스

세계은행(WB)이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보다 0.2%포인트(p) 상향한 2.6%로 제시했다.

미국의 견조한 성장세와 중국의 연초 수출 호조가 반영된 결과다.

11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WB는 이날 6월 세계경제전망 발표를 통해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을 올해 1월 전망 대비 0.2%p 상향한 2.6%로 전망했다.

미국 성장률이 올해 1월 전망대비 0.9%p 오른 2.5%를 기록한 것이란 전망이 상향 조정의 이유다.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의 올해 성장률은 1월 전망 대비 0.3%p 상승한 1.5%로 전망했다.

미국과 달리 유로존(0.7%, 종전과 동일)은 투자와 수출 성장세가 여전히 저조하고, 일본(0.7%, 종전대비 -0.2%p)은 소비와 수출 둔화로 성장세가 약화되는 등 주요국 간 성장 격차는 지속될 것으로 WB는 설명했다.

신흥·개도국의 올해 성장률은 1월 전망 대비 0.1%p 상승한 4.0%로 전망됐다.

이중 중국 성장률은 종전 4.5%에서 4.8%로 0.3%p 상향조정됐다. 부진한 건설·설비 투자에도 연초 수출 호조세가 반영된 결과다.

WB는 "올해 세계 경제가 이전보다 상·하방 요인이 보다 균형을 이루고 있지만 하방요인이 우세하다"고 평가하며 무력 분쟁과 지정학적 리스크 확산, 무역 분절화 및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 고금리 지속, 중국 경기 둔화, 자연재해 등을 하방요인으로 제시했다.

이에 따라 2024~2026년 세계경제가 팬데믹 이전(2010~2019년) 보다 0.5%p 낮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WB는 여전히 높은 물가를 감안해 가격 안정에 중점을 둔 통화정책과 투자의 필요성과 재정 지속가능성 간 균형을 맞춘 재정정책 추진을 권고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