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올스톱'…與 전당대회 흥행 위기

입력 2024-06-11 16:4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국민의힘 차기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가 22대 국회 전반기 원 구성 협상 불발로 흥행 위기에 몰렸다. 야당의 22대 국회 전반기 상임위원회 위원장 선출 강행 대응에 당력을 집중하면서, 전당대회 관련 논의는 뒷순위로 밀린 분위기다.

국민의힘 당헌·당규 개정 특별위원회는 전당대회 관련 규칙 개정안을 12일 발표하기로 했다. 특위 활동 기한인 이날까지 당 대표·최고위원 선출 시 일반 국민 여론조사 반영 비율, 지도체제 변경 여부 등을 만장일치 의견으로 발표하려는 의도다.

여상규 당헌·당규 개정 특위 위원장은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내일(12일)은 (결과를) 발표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결과 도출이 늦어진 배경에 대한 입장은 밝히지 않았으나, 이날까지 당 대표·최고위원 선출 시 국민 여론조사 반영 비율과 지도체제 정비안을 확정하지 못한 게 이유로 꼽힌다.

국민의힘 내에서는 당 대표·최고위원 선출 시 '당원투표 100%' 현행 규정을 고치는 데 공감대가 있다. 다만 국민 여론조사 반영 비율을 두고는 △7대 3(당원투표 70%, 여론조사 30%) △8대 2(당원투표 80%, 여론조사 20%) 의견이 엇갈린다. 역선택 방지 조항을 넣는 것까지 합의가 도출됐으나 여론조사 반영 비율에서 의견차가 좁혀지지 않는 상황으로 전해진다.

지도체제 변경 여부에 대해서도 당 입장이 정해지지 않았다.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이 제안한 '승계형 단일지도체제'에 대한 당내 입장뿐 아니라 기존 단일지도체제 유지, 집단지도체제 변경 등 의견이 다양해서다.

국민의힘 3040세대 모임인 첫목회는 집단지도체제 변경을 주장한다. 반면 당권 주자로 꼽히는 나경원 의원은 현행 단일지도체제 유지를 주장한다. 황 위원장은 승계형 단일지도체제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언급하나, 당내 분위기는 좋지 않다. 이로 인해 현행 단일지도체제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으로 점쳐진다.

하지만 황우여 지도부가 흥행 차원에서 선거관리위원회뿐 아니라 관련 규칙 개정을 위한 당헌·당규 개정특위도 꾸렸으나, 성과가 도출되지 않으면서 활동 자체가 당내에서 주목받지 못하는 분위기다. 여기에는 22대 국회 전반기 원 구성 협상 결렬로, 전당대회 관련 논의에 신경 쓰기 힘든 상황도 한몫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당 관계자는 11일 본지와 통화에서 "지금은 의원들이 국회 상황을 더 신경 쓰는 상황"이라며 "원 구성 협상 불발로 당 정책위원회가 자체 특별위원회를 꾸려 여러 가지 현안에 대응하는 중이기에, 전당대회 관련 논의가 주목받기 힘든 게 사실"이라고 했다.

이와 별개로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이 차기 유력 당권 주자로 꼽히는 상황도 전당대회 흥행되기 힘든 이유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른바 '어대한'(어차피 당 대표는 한동훈)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나경원·유승민 등 유력 당권 후보가 출마 선언을 하지 않는 게 아니냐는 판단이다.

다만 규칙이 정해지고, 22대 국회 원 구성 상황도 어느 정도 해소되면 당내에서 전당대회 출마 선언하는 주자들도 나올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 당 관계자는 "지금은 전당대회 규칙도 정해지지 않아서, 당권 주자들이 섣불리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원 구성 상황이 어느 정도 정리되면, 당내에서 (당권 주자에 대한) 의원들 간 논의도 나오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