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이차전지용 ‘NCM 단결정 양극 소재’ 개발

입력 2024-06-11 14:2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강용묵 교수 (고려대)

고려대는 신소재공학부 강용묵 교수 연구팀이 전기자동차용 이차전지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NCM(니켈-코발트-망간) 단결정 양극 소재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NCM 단결정 양극 소재의 노출면을 조절함으로써 이차전지의 출력과 수명을 동시에 향상시켜 에너지 분야 저명 학술지인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에 온라인 게재됐다.

NCM 소재는 타 양극 소재 대비 높은 에너지 밀도로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 확장에 유리하다. 특히 니켈 함량이 높은 NCM 양극 소재는 에너지 밀도 측면에서 국내 셀 기업의 기술적 우위를 나타내는 대표적 소재로 여겨진다.

기존 다결정 기반 NCM 양극 소재는 충전 및 방전 시 입자가 받는 높은 스트레스로 수명 특성이 급격히 열화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제시된 단결정 NCM은 충전 및 방전 시 스트레스가 감소, 다결정 NCM 대비 우수한 수명 특성을 보인다. 다만, 출력 특성이나 다른 전기화학적 성능에서 한계가 있었다.

강 교수 연구팀은 리튬염의 리튬 및 산소 화학 포텐셜을 조절, 단결정 NCM 양극 소재의 노출면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특히 노출면에 따른 전기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NCM 양극 소재의 출력 및 수명 특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해당 연구는 연세대 이용민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이뤄졌다. 한국연구재단 중견 연구자 사업, 나노 및 소재 기술 개발(전략형) 사업, 그리고 Umicore Battery Materials 등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단결정 양극 소재 특성 노출면 조절이 해당 소재의 여러가지 전기화학적 특성을 동시에 최적화하기 위한 핵심 인자임을 증명해 향후 여러 단결정 양극 소재 개발에 중요한 기술적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