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증권 "코스피 3분기 3100 가능…4분기 차익실현해야"

입력 2024-06-11 13: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NH투자증권)

올해 3분기 기업들의 실적이 좋아지면서 코스피가 3100포인트까지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김병연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투자전략부장은 11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간담회를 열고 "지수 상승을 견인하는 것은 기업이익인데 실적 전망치가 상승하며 밸류 부담이 낮아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올해 하반기 코스피 예상밴드는 2500~3100포인트로 3분기 말이 고점으로 봤다. 이후 4분기부터는 차익실현 욕구가 커지면서 다소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김 이사는 "하반기 코스피 변곡점은 일평균 수출 금액이 피크아웃(정점에 이른 뒤 상승세가 둔화하는 것)하는 3분기 말이 될 것"이라며 "연말로 갈수록 국가 부채와 트럼프 당선, 한국 수출, 지방 부동산 등 내년 불확실성으로 인해 차익 실현 욕구가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같은 전망의 전제로 원·달러 환율과 유가 안정을 꼽았다. 다만 미국 대선 당해연도에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추가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했다.

글로벌 증시에 대한 인공지능(AI) 주도력이 이어지는 가운데 한국도 하반기부터 AI 산업 모멘텀을 일부 기업이 반영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는 "글로벌은 AI 기술 인프라와 퍼스널 기기로 이슈가 확대될 전망인데 한국도 이에 동참할가능성이 높다"며 "국내 반도체 및 해당 밸류체인에 기회가 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반기 국내 증시에서 주목해야할 업종으로는 온디바이스 AI 관련 반도체, IT, 가전을 꼽았다. IT중소형주, 조선, 바안 등도 공급망 전쟁과 무역갈등 상황에서 혜택을 볼 수 있어 주목해야한다고 했다. 밸류업 관련 수혜업종으로 은행, 보험, 통신도 제시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를 위해서는 연평균 소비자물가지수(CPI)가 3.3% 이하로, 월평균 고용이 20만 명 이하로 유지돼야 할 것으로 봤다. 김 이사는 "금융시장이 이미 올해 1.5회의 금리 인하를 반영 중"이라면서 미국 10년 채권 금리가 하향 안정화될 것으로 봤다.

하루 앞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관전포인트는 내년 기준금리 점도표의 향방이라고도 언급했다.

김 이사는 "12일 열리는 FOMC에서 올해 점도표에서 기준금리 인하 횟수를 기존 3번에서 낮추는 것은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면서도 "다만 관전포인트는 내년 점도표를 기존 3번에서 1번 정도로 하향 조정한다면 시장이 난리가 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