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캐피탈, '성장과 안정' 두 마리 토끼 모두 잡았다

입력 2024-06-13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현대캐피탈, 글로벌 총자산 5년 만에 80.6%↑
연체율 0%대…캐피털사 중 유일
'성장과 안정' 모두 달성

(사진제공=현대캐피탈)

현대캐피탈이 탄탄한 재정 건전성을 기반으로 자산이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13일 현대캐피탈에 따르면 국내와 해외 법인 자산을 합친 글로벌 총자산은 2019년 87조5000억 원에서 지난해 158조1000억 원으로 5년 만에 80.6%나 급증했다.

같은 기간 해외법인 총자산은 55조4000억 원에서 118조5000억 원으로 113.9% 나 뛰면서 전체 글로벌 자산 상승세를 견인했다.

특히 이같은 성과가 놀라운 것은 '자산 증가'라는 외형적인 성장에만 집중한 결과물이 아니라는 점에 있다. 현대캐피탈은 유동성 확보와 리스크 관리 등 내실을 탄탄히 다지는 일에도 만전을 기했다.

전 세계적인 고금리 기조에 대응하면서 충분한 유동성을 마련하고자 다양한 조달원을 확보했다. 지난해 말 기준 현대캐피탈의 차입 잔액은 31조4000억 원이다. 이는 국내뿐 아니라 미달러(USD)를 비롯해 엔화(JPY), 스위스프랑(CHF), 호주달러(AUD), 싱가포르달러(SGD) 등 다양한 통화로 글로벌 본드와 자산유동화증권(ABS)을 발행하는 등 다변화된 조달 포트폴리오를 구축한 결과다.

현대캐피탈은 금융당국의 규제 수준(100%)을 상회하는 131.1%(2023년)의 대손충당금을 쌓았다. 2021년부터 3년 연속 무배당 기조를 유지하면서 금융당국의 규제 수준(9배) 안에서 7.2배 수준으로 안정적인 레버리지 관리도 이어가고 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지표는 연체율이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여신금융사에 속하는 전업계 카드사 8곳(신한·삼성·현대·KB국민·롯데·하나·우리·BC카드)의 평균 연체율은 1.63%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1.20%) 대비 0.43%포인트(p) 상승한 수준이다.

캐피털 업계는 더욱 심각하다. 지속되는 고금리로 고객의 대출금 상환 부담이 늘어나면서 연체율이 끊임없이 치솟고 있다. 캐피털사들이 공격적으로 투자 규모를 늘려왔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위험까지 급부상하며, 일부 중소형 캐피탈사의 경우 10%대 연체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사진제공-현대캐피탈)

주요 캐피털 사들이 모두 1%를 훌쩍 넘어선 연체율을 기록한 가운데, 현대캐피탈은 작년 말 기준 연체율 0.95%로 유일하게 0%대를 기록했다.

현대캐피탈은 11월 호주, 내년 4월 인도네시아 등 새로운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해 성장세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호주와 인도네시아 법인 모두 '전속 금융사'라는 이점을 활용해 다양한 상품 라인업을 선보이고, 앞선 디지털 시스템을 적용해 빠르고 편리한 서비스로 현지 고객들을 사로잡는다는 복안이다.

회사 관계자는 "현대자동차그룹의 글로벌 전략에 발맞춰 국내외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 고도화시켜 나갈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성장과 안정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모두 달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