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사로서 지석영’ 돌아보는 국제학술심포지엄 열린다

입력 2024-06-10 11: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5일, 서일대 호천관에서 한·중·일 ‘제1회 지석영 기념 국제학술심포지엄’ 개최

▲지석영 건강축제 포스터 (사진제공=대한한의사협회)

우두법을 우리나라에 최초로 도입한 지석영 선생의 한의사로서의 생애와 업적을 되돌아보는 국제학술심포지엄이 개최된다.

대한한의사협회는 15일 오후 4시부터 서일대학교 호천관 7층 강당에서 ‘지석영의 삶과 종두법’을 주제로 한·중·일 연자가 참석하는 제1회 지석영 기념 국제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국제학술심포지엄은 정유옹 대한한의사협회 수석부회장의 사회로 △한의사 지석영의 연대기(김남일 경희대 한의과대학 교수) △한국 종두법의 역사와 지석영(이태형 대한한의사협회 학술이사) △우두법의 전파와 그 확산(아오키 토시유키 일본 사가대학 교수) △종두법으로 살펴본 중국과 외국의 의학교류(장쯔리 중의사·한국한의약진흥원 정책본부 세계화센터 연구원) △신종 감염병 전주기 의학적 관리에서의 한의약의 역할(권선오 한국한의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등의 주제발표가 진행된다.

대한한의사협회 관계자는 “한의사로서의 지석영 선생의 생애와 우리나라 종두법의 역사를 토대로 지석영 선생의 우두법 도입이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고, 일본과 중국에서 이루어진 종두법의 역사와 한의약의 활약을 고찰한다는 차원에서 이번 심포지엄이 가지는 의미가 크다”며 “특히 코로나19 당시 한의사들의 역할과 노력을 되돌아봄으로써 감염병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 한의약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석영 선생(1855~1935)은 일제가 조선을 점령한 이후 한의사로만 활동한 인물로 일본에서 종두법을 습득해 우리나라에 전파함으로써 천연두 퇴치에 큰 기여를 했다. 1914년 의생규칙이 반포되자 의생으로 등록(醫生 면허 6호. 관보460호)해 1915년 전선의회(全鮮醫會)의 회장으로 추대됐고 1924년에는 동서의학연구회(東西醫學硏究會)라는 한의사 단체의 회장을 역임하며 한의학 발전에 힘썼다.

한편, 이번 국제학술심포지엄은 한의약의 현대화와 대중화를 위해 15일과 16일 양일간 용마폭포공원 및 서일대학교(서울시 중랑구 소재) 일대에서 펼쳐지는 ‘제1회 지석영 건강축제’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건강한 내일을 위한 지석영의 지혜’를 슬로건으로 하는 지석영 건강축제에서는 국제학술심포지엄 이외에 한의약 건강강좌와 체험부스 운영, 기념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