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첫 순방 떠나는 尹, 중앙亞 찾아 핵심광물 협력...'K-실크로드' 본격화

입력 2024-06-09 16:1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尹, 투르크·카자흐·우즈베크 국빈 방문...5박 7일
올해 첫 순방...김건희 여사 동행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 주목...경제 안보 강화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실에서 경제 현안과 관련해 국정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5박 7일 일정으로 올해 첫 순방길에 나선다. 핵심광물이 풍부한 중앙아시아 3개국을 국빈 방문하는 윤 대통령이 중앙아시아를 전략지역으로 공략, 공급망 협력 강화 등을 통해 경제 안보에서 성과를 낼지 주목되고 있다. 지난해 12월 네덜란드 순방 이후 약 6개월 만의 해외 방문인 이번 순방에는 윤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도 동행한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과 김 여사는 이날부터 투르크메니스탄(10~11일), 카자흐스탄(11~13일), 우즈베키스탄(13~15일)을 찾는다. 정부는 3개국과 각각 정상회담과 양해각서(MOU) 서명식을 한다. 이번 순방에는 약 65개 기업이 동행하며, 협회·기관 등을 더하면 경제사절단 규모는 약 86곳에 달한다.

정부는 투르크메니스탄과는 교역 규모 확대를,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과는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 의제에 집중할 전망이다. 투르크메니스탄은 세계 4위 천연가스 보유국으로, 우리나라는 에너지와 플랜트 분야에서 투르크메니스탄과 협력해오고 있다. 이번 방문으로 정부는 우리 기업 진출 확대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다.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과는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이 최우선으로 논의될 전망이다. 카자흐스탄은 산유국인 동시에 우라늄, 크롬 같은 핵심광물에서 세계적으로 높은 시장점유율을 자랑하는 자원 부국이다. 우즈베키스탄 역시 자원 부국으로 우라늄, 몰리브덴, 텅스텐 등이 풍부하다. 특히 산화텅스텐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에 우즈베키스탄과의 협력은 필수적이다.

이들 3개국에서 각각 현지에 진출한 우리 기업과 현지 기업을 초청하는 비즈니스 포럼도 진행된다.

또 이번 순방으로 중앙아시아 특화 외교 전략인 한-중앙아시아 ‘K-실크로드’ 협력 구상도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K-실크로드는 윤석열 정부가 ‘인도‧태평양 전략’, ‘한-아세안 연대 구상’에 이어 세 번째로 발표한 지역 전략으로, 우리나라가 보유한 혁신 역량과 중앙아시아의 풍부한 자원 등 발전 잠재력을 연계해 새로운 협력 모델을 만든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자원 협력(R) △공적개발원조(ODA)(O) △동반자 협력(A) △유기적 협력(D) 등 4대 ‘로드’(ROAD) 추진 체계를 이행하기로 했다. 중앙아시아 국가와의 전략적 자원 파트너십을 통해 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실질적인 개발 협력을 통해 기후 위기·보건 위기 등에 함께 대응하겠다는 취지다.

내년 우리나라에서 K-실크로드 최고위급 플랫폼인 ‘한-중앙아 5개국 정상회의’가 처음 열리는 만큼 이번 순방은 한-중앙아 5개국 정상회의를 위한 초석이기도 하다. 윤 대통령은 K-실크로드 추진을 위한 최고위급 플랫폼으로 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투르크메니스탄·타지키스탄·키르기스스탄 5개국과 우리나라 간 한-중앙아 5개국 정상회의를 창설하기로 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7일 브리핑에서 “중앙아시아는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라며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 분쟁 등으로 글로벌 복합위기가 확산하며 전략적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석열 정부의 중앙아시아 협력구상은 앞으로 대한민국과 중앙아 관계를 새로운 단계로 끌어올리는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