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 뉴욕증시, 견조한 美 고용지표에 하락…다우 0.22%↓

입력 2024-06-08 06:4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4월 2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들이 일하고 있다. 뉴욕(미국)/로이터연합뉴스

뉴욕증시가 7일(현지시간) 예상보다 견조한 고용 지표에 하락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87.18포인트(0.22%) 내린 3만8798.99에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5.97포인트(0.11%) 밀린 5346.99에, 나스닥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9.99포인트(0.23%) 떨어진 1만7133.13에 거래를 끝냈다.

이날 발표된 미국의 5월 고용지표에서는 취업자 수 증가가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시기가 늦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반면 미국 경기가 시장의 예상만큼 둔화하지 않았다는 시각은 증시의 하락 폭을 제한했다.

미국 노동부는 5월 비농업 부문 취업자 수가 전달보다 27만2000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다우존스통신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19만 명 증가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시간당 평균 시간당 임금도 0.4% 증가해 시장 예상치(0.3% 증가)를 웃돌았다. 실업률은 3.9%에서 4%로 상승했지만, 전반적으로 노동시장의 견고함을 보여주는 내용이었다.

고용지표 호조는 인플레이션 압력 지속에 대한 우려를 키웠다. CIBC 캐피탈 마켓의 알리 자페리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의 금리 인하 결정을 위해서는 노동 수급 완화를 보여주는 추가 데이터를 기다려야 한다”고 짚었다. 연준이 9월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기대가 후퇴하면서 매도세가 출회했다. CME그룹의 페드와치툴에 따르면 연준이 9월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50% 이상에서 이날 45.0%로 낮아졌다.

미국 채권 시장에서 장기 국채 금리가 전일 종가 4.29%에서 4.4%대 초반으로 상승한 것도 증시의 하락 요인이 됐다. 10년물 미국 국채수익률은 전장보다 14bp(1bp=0.01%) 이상 뛴 4.43%를 기록했다. 주식의 상대적 고평가가 부각되면서 기술주를 중심으로 투자 심리가 위축됐다.

다만 전날까지 미국 경기 둔화를 나타내는 지표가 잇따라 발표됐던 만큼 강한 고용지표로 경기 하강 우려가 완화된 측면도 있다. 아트 호건 B라일리웰스의 수석시장전략가는 “견조한 노동시장이 소비를 뒷받침하고 기업 수익 확대로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업종별로는 금융, 헬스, 산업, 기술 관련 종목이 강세를 보였다. 에너지, 소재, 부동산, 커뮤니케이션 관련 지수는 하락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0.36포인트(2.86%) 밀린 12.22를 기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