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5도 확률 80%’ 기후 경고에 親원전 대응을

입력 2024-06-07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구촌이 달아오르고 있다. 세계기상기구(WMO)는 5일(현지시간) 2024∼2028년 지구 연평균 표면 기온이 산업화 이전 시기인 1850∼1900년 기준선보다 섭씨 1.1∼1.9도 더 높을 것으로 보인다고 발표했다. 5년간 지구의 연평균 기온 상승 폭이 1.5도를 넘어서는 해가 적어도 한 번 나올 확률이 80%라고도 했다. 2017∼2021년 20%에서 2023∼2027년 66%까지 상승한 확률이 또 껑충 뛰었다.

기온 상승 폭 1.5도는 2015년 국제 사회가 파리기후변화협약에서 합의한 제한선이다. 위험수위인 것이다. 지난해 연평균 표면 기온은 1.45도 높아지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6월부터 올해 5월까지 1년간 지구 평균 기온이 1.63도 상승하기도 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우리는 지구를 가지고 러시안룰렛 게임을 하고 있다”고 했다.

기후 재앙이 시작된 것은 아닌지 걱정이다. 인도는 50도 안팎의 폭염으로 인명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하와이 마우이섬은 뜨거운 대기가 촉발한 산불로 뒤덮였다. 리비아는 열대성 폭풍이 동반한 폭우로 1만4000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페루·에콰도르 지역 어획량 감소, 브라질 아마존 강돌고래 집단 폐사 등도 해수 온도 상승이 원인이다. 한국도 기후의 아열대화가 심각한 수준이다.

지구촌을 식히려면 무탄소 전원 확대가 시급하다. 국제 사회가 힘을 합쳐야 한다.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더 큰 노력을 시급하게 기울이지 않으면 수조 달러의 경제적 비용과 수백만 명의 인명 피해, 생물 다양성에 대한 광범위한 피해 등 큰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WMO는 경고한다.

한국도 적극 임해야 한다. 가장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수단은 친(親)원전이다. 프랑스, 영국은 각각 원전 14기, 9기를 새로 짓기로 했다. 미국, 일본 정부도 원전 확대에 힘쓰고 있다. 자국 동해안을 원전 단지로 덮고 있는 중국은 두말할 것도 없다. ‘K-원전’의 기술 강점까지 가진 우리는 세계적 조류를 타고 새 시대로 나아가야 한다. 산업 경쟁력 측면에서도 원전 확대는 필수적이다. 인공지능(AI) 기술 발달로 대량의 전기를 소모하는 데이터센터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역시 원전만 한 게 없다.

산업부가 최근 11차 전력수급 기본계획 실무안에 2038년까지 신규 원전 3기, 소형모듈원전(SMR) 1기 건설 계획을 담은 것은 크게 봐서 옳은 방향이다. 그러나 경제성이 가장 좋은 원전보다 외려 태양광·풍력 확충에 큰 방점을 찍은 실무안의 전체적인 내용은 공감하기 어렵다.

2030년까지 태양광 등 설비를 현재의 3배 수준으로 늘리겠다는 것이 실무안의 핵심 골격이다. 신재생 에너지 여건이 주요 경쟁국에 비할 바 없이 열악한 국내에서 그 많은 신재생 설비를 어디에 어떻게 늘리겠다는 것인가. 경제성은 있나. 중국만 좋은 일 되는 것 아닌가. 수많은 질문이 나올 수밖에 없다.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관리 특별법, 국가 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 제정 등 원전 강국 입지를 강화할 입법 지원도 서두를 일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