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부터 동물사료까지…中 ‘저가 전략’에 무역분쟁 확산

입력 2024-06-05 15:5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국 수출 급증에 신흥국 파트너도 불만

▲5월 14일 중국 동부 산둥성 칭다오의 한 항구에서 컨테이너를 실은 화물선이 보인다. 칭다오(중국)/AFP연합뉴스

중국이 저기술 상품 수출을 급격하게 늘리면서 무역 전쟁이 확산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중국의 과잉생산이 서방 견제를 받는 첨단 산업을 넘어 동물 사료 등 저기술 분야까지 넓어지면서 신흥국의 불만도 커지고 있다.

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은 이번 주 중국산 전기차에 추가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앞서 미국도 비슷한 조처를 했고, 캐나다 역시 같은 대열에 합류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만 이런 전기차 관세는 일부 서방 국가에 그칠 것으로 예상한다. 대부분 국가는 중국산 저가 전기차에 맞서 보호해야 할 자국 전기차가 없기 때문이다.

반면 소비재로 영역을 확대하면 사정은 달라진다. 경기 침체로 내수가 위축된 철강, 동물 사료 등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 포함된다. 중국의 이런 수출 확대전략은 같은 품목의 글로벌 가격 하락을 동반한다. 이 현상이 지속할 경우 미국과 유럽을 넘어 더 많은 국가가 중국산에 대한 대응을 확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중국산 제품에 대한 보조금 제외 및 반덤핑 조치가 기록적인 수치를 기록하는 등 이미 반발은 시작됐다.

반보조금 대처는 대부분 선진국에 국한되지만, 반덤핑 조치는 인도 등 보다 다양한 국가에서 취해졌다. 품목 역시 철강 제품, 휠 로더, 풍력 타워 등 다양한 제조품을 대상으로 했다.

중국 철강 수출은 주택 건설 붕괴로 인한 내수 부진으로 3월 1300만t을 기록했으며, 4월에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현지 기업들은 올해에도 10억t의 철강을 생산할 계획이다. 주택 경기가 회복될 조짐을 보이지 않으면 더 많은 잉여 철강이 세계 시장으로 나오게 된다.

철강 가격이 폭락하면서 남미 국가들은 가격 하락을 막고 현지 생산 기업을 보호하기 위해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이러한 장벽과 8월 발효될 미국의 관세 인상으로 더 많은 금속이 아시아로 향할 수 있다. 베트남과 인도는 이미 저가 철강 제품의 범람으로 인해 현지 기업이 타격을 입었다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태국과 사우디아라비아는 새로운 부과금을 고려하고 있다.

중국의 경기 둔화는 철강 가격만 떨어뜨린 것이 아니다. 중국의 '대두박' 수출은 올해 1~4월 60만t에 육박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배 가까이 급증한 것이다. 대두박은 동물 사료로 사용되는데, 돼지고기 수요 둔화에 따른 돼지 사육두수 감소로 잉여분을 수출하게 됐다.

키안 밍 말레이시아 전 국제무역부 차관은 “중국의 무역 동반자들은 주택 관련 분야의 과잉 생산으로 인해 이러한 재료들 가운데 일부가 외국 시장에서 덤핑 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