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아프리카 13개국에 韓 디지털 전략 공유

입력 2024-06-05 10:5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5일 제10회 글로벌 ICT 리더십 포럼 개최
이집트·튀니지·마다가스카르 등 13개국 아프리카 ICT 장관 참석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5일 서울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제 10회 글로벌 ICT 포럼'에서 개회사를 발표하고 있다. (안유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글로벌 ICT 리더십 포럼'을 열고 아프리카 지역 13개국 ICT부처 장관에게 한국의 인공지능(AI)・디지털 분야 주요 전략을 소개했다.

5일 서울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제10회 글로벌 ICT 리더십 포럼은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의 일환이다. 한국의 디지털 정책, 경험을 공유하고 개도국의 정보통신 정책 수립 및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2015년부터 매년 개최돼 올해 10회를 맞이했다. 개최된 이래 지금까지 약 50개국의 장·차관급 고위 정책결정자가 참여했다.

특히 이번 포럼은 4~5일 한국에서 개최되고 있는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의 부대 행사로서 아프리카 지역과의 ICT 협력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최됐다. 이집트, 우간다, 튀니지, 마다가스카르, 코모로, 에스와티니, 시에라리온, 기니비사우, 레소토, 말라위, 가나, 탄자니아, 짐바브웨 등 아프리카 지역의 13개국 ICT 부처의 장관이 참석했다.

이종호 장관은 개회사를 통해 “오늘 개최되는 제10회 글로벌 ICT 리더십 포럼이 아프리카 국가들과 새로운 글로벌 디지털 질서를 함께 만들어 나가는 의미 있는 장이 되기를 희망한다”며 디지털 선도국으로서 대한민국이 아프리카 국가를 비롯한 개도국과 함께 글로벌 디지털 신질서 수립에 앞장설 계획임을 밝혔다.

이어진 첫 번째 기조연설에서는 과기정통부 엄열 정보통신정책관이 ‘인공지능(AI)・디지털 기반 혁신성장 전략’을 주제로 ‘AI-반도체 이니셔티브’, ‘디지털 권리장전’,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 계획’, ‘AI 서울 정상회의 성과’ 등 대한민국의 인공지능(AI)・디지털 분야의 주요 전략과 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엄열 정보통신정책관은 "AI 반도체부터 AI 서비스까지 가치 사슬 전반을 아우르는 대형 R&D 기술을 통해 AI 기술 혁신을 이끌 인재를 육성하고 인프라를 구축할 것"이라며 “국민이 발전된 AI 기술 향유할 수 있도록 대규모 일상화 프로젝트를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진 두 번째 기조연설에서는 황종성 한국지능정보화사회진흥원(NIA) 원장이 “AI시대 한-아프리카 디지털 협력 방안”을 주제로 하여 AI를 기반으로 하는 ODA 등 한-아프리카 파트너십에 대하여 발표했다.

이후 첫 번째 세션에서는 ‘디지털 심화 시대 글로벌 연대 협력 강화’를 주제로 하여 가나, 기니비사우, 마다가스카르, 튀니지, 이집트, 코모로 장관이 각국의 디지털 전환 현황 및 글로벌 협력 현황을 공유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ICT 기반의 지속가능한 혁신 방안’을 주제로 하여 말라위, 시에라리온, 우간다, 에스와티니, 레소토, 탄자니아 장관이 각국의 ICT 혁신에 대한 주제를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 앞서 이종호 장관은 암 탈라트 이집트 통신정보기술부 장관, 니자르 벤 네지 튀니지 통신기술부 장관과 양자면담을 진행해 ICT 협력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특히 튀니지와는 ICT 협력에 관한 MOU를 체결하여 향후 ICT 협력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