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말 금융권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57조…EOD 2.4조 규모

입력 2024-06-05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금융감독원은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이 2023년 말 기준 57조6000억 원으로 지난해 9월 말 대비 1조2000억 원 증가했다고 5일 밝혔다.

금융권별로 보면 보험이 31조3000억 원(54.4%), 은행 11조6000억 원(20.2%), 증권 8조8000억 원(15.2%), 상호금융 3조7000억 원(6.4%), 여전 2조1000억 원(3.6%) 등으로 파악됐다.

지역별로는 북미가 34조8000억 원(60.3%)로 가장 많고 유럽 11조5000억 원(20.0%), 아시아 4조2000억 원(7.3%), 기타 및 복수지역 7조2000억 원(12.4%) 등 순이었다.

만기별로는 2024년까지 10조6000억 원(18.3%), 2030년까지 44조8000억 원(78.0%)로 만기가 도래한다.

지난해 말 금융회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35조1000억 원 중 2조4100억 원(6.85%)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 2023년 4분기 중 1000억 원 증가해 3분기 상승폭 9800억 원 대비 둔화했다.

미국의 고금리 지속 등 통화정책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해외 부동산 시장 침체 등으로 해외 부동산 투자금액은 전 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평가다.

올해 들어 미국·유럽 상업용 부동산 가격지수 하락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나 추가 가격하락 위험을 배제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금감원은 “해외 부동산 투자 규모가 크지 않고,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해외 부동산 투자손실이 국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금융회사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에 대한 적정 손실 인식 및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유도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EOD 등 특이동향 신속보고체계 운영 및 올해 내 만기도래 자산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며 “금융회사의 대체투자 프로세스를 점검하여 내부통제 강화를 유도하는 등 금융회사 자체 리스크 관리 역량을 제고하겠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