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5 전당대회’ 與당권주자 분주…존재감 경쟁

입력 2024-06-04 16: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민의힘 나경원(오른쪽 부터), 안철수, 권영세 의원이 30일 충남 천안시 재능교육연구원에서 열린 제22대 국민의힘 국회의원 워크숍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여당이 ‘7·25 전당대회’를 잠정 확정하면서 주요 당권주자들의 움직임이 분주해지고 있다. 이들은 각자의 정책 상징성을 부각하는 1호 법안을 발의하거나, 주요 정치 현안에 목소리를 내며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4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당권주자로 거론되는 나경원·윤상현·안철수 의원은 22대 국회가 개원한 뒤 모두 1호 법안 발의를 끝마쳤다.

나 의원과 안 의원은 각각 ‘저출산’, ‘AI(인공지능)’을 주제로 한 법안을 발의해 정책 역량에 힘을 주었고, 윤 의원은 ‘지구당 부활’을 1호 법안으로 제시해 당 혁신에 존재감을 드러냈다.

주요 당권주자 중 가장 먼저 법안을 낸 건 윤 의원이다. 그는 국회 개원 첫날인 지난달 30일 ‘지구당 부활’을 골자로 한 정당법·정치자금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여당의 대표적 험지인 수도권에서 5선 고지에 오른 그는 4·10 총선 참패 직후부터 ‘당 쇄신’을 강조해온 바 있다.

윤 의원은 “우리가 수도권부터 대전까지 129석 중 가지고 있는 의석이 19석밖에 안 된다. 수도권과 중원에서 우리가 활동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만들어줘야 한다”고 법안 취지를 설명했다. 지구당이 부활하면 총선에서 낙선한 원외 당협위원장도 지역 사무실을 두고 직원을 고용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당권주자로 거론되는 나 의원과 안 의원은 정책 역량에 집중하고 있다. 나 의원은 자신이 꾸준히 주장해온 ‘헝가리식 저출산 해법’을 담은 주거기본법 개정안을 1호 법안으로 내놨다. 개정안은 신혼부부가 2억원 이하 주택자금을 연 1% 이내 초저금리로 대출할 수 있게 하고, 출산 시 자녀 수에 따라 대출금 이자와 원금을 지원하는 내용이다.

앞서 나 의원은 지난달 16일에도 ‘저출산·연금개혁’ 세미나를 열고 민생 이슈 선점에 나선 바 있다. 당시 세미나에 추경호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가 대거 참석하면서, 나 의원이 세 불리기에 나섰단 관측도 나왔다. 특히 ‘저출산 문제 해결’은 최근 당이 내놓은 1호 법안의 핵심을 관통하는 주제이기도 하다.

IT 전문가인 안 의원은 ‘AI산업법’을 꺼내들었다. 안 의원은 “인공지능 기술은 반도체, 2차전지, 바이오 등과 함께 우리가 세계적으로 두각을 나타낼 수 있는 산업임으로 면밀하고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법안 발의 취지를 설명했다. ‘AI 기본법’ 역시 당이 우선적으로 추진하기로 한 법안 중 하나다.

입법권이 없는 원외 인사들은 주요 정치 이슈에 목소리를 내며 꾸준히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대표적으로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은 지구당 부활론을 펴면서 원외 당협위원장들로부터 지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유승민 전 의원도 최근 전당대회 룰 개정 방향에 공개적인 목소리를 냈다. 그는 전날(3일) 라디오에 나와 ‘역선택 방지 조항’ 개선을 주장했다.

유 전 의원은 “무당층이나 중도층 같은 데서 지지를 많이 받는 유승민이 당 대표가 되면 민주당이 제일 만만하게 생각한다는 발상에서 나온 게 역선택 방지”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제가 출마를 하든 안 하든 관계없이 국민들 보기에 말이 안 되는 룰이라서 당연히 바뀌어야 된다”고 주장했다.

당 당헌·당규개정특별위원회는 이달 12일까지 역선택 방지 조항을 비롯해 지도 체제, 당권·대권 분리 규정 완화, 결선투표제 등에 대한 결론을 낼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