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거버넌스포럼 "SK 이사회, 밸류업 진심이면 25% 자사주 소각해야"

입력 2024-06-04 11:2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로고=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4일 SK를 향해 “차기 이사회에서 일반주주를 포함한 모든 주주 입장으로 자본 배치를 원점 재검토하라”고 촉구했다.

기업거버넌스포럼은 이날 SK 이사회에 보내는 서한을 통해 “SK 주식이 지속 대규모 할인 거래되는 근본적 이유는 총발행 주식 수의 25%에 달하는 자기주식 때문”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포럼은 “SK는 포트폴리오 전체 가치를 높이는 것을 경영 최우선 목표로 삼으며 2021년 투자자 간담회에서 2025년까지 시가총액 140조 원의 전문가치투자자로 진화하겠다는 파이낸셜 스토리를 공개했다”며 “안타깝게도 3년이 지난 지금 SK 주가는 14만 원, 시총은 11조 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SK의 장기간 주가 하락으로 일반주주뿐 아니라 8% 지분을 보유한 국민연금도 막대한 손실을 입었으며, SK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5배에 불과하다”며 “SK의 자사주 보유 지분율은 시가총액 3조 원 이상 대형 상장사 중 제일 높다”고 강조했다.

또 “보유 자사주는 진작 전량을 소각해서 주주환원에 사용해야 했다”며 “2022년 매년 시총의 1%에 해당하는 자사주를 매입, 소각하겠다고 발표하고 올해 5월 지난해 매입한 1198억 원 자기주식 소각을 의결했다고 공시했지만, SK의 주주환원 정책은 실패했다”고 진단했다.

이들은 “SK 주주환원 정책이 실패한 이유는 SK 주가 저평가 정도와 주주들의 손실률 고려 시 자사주 소각 규모가 매우 적었기 때문”이라며 “선진국에서는 자사주 매입과 동시에 소각하므로 자사주라는 계정이 재무상태표에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임직원 주식 보상 등 특별한 경우 제외하고는 소각 없는 자사주 매입은 이사회 통과가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SK 주주환원 정책은 자기주식 매입 소각을 기반으로 주주가치 극대화를 꾀한다고 명기하고 있다”며 “이번 기회에 SK 이사회가 다른 계열사 및 국내 상장사의 모범이 되는 주주 중심의 의사결정 하기를 바라겠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