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리막길 코스피…'반등·하방방어' 건 증권가

입력 2024-06-03 15:40수정 2024-06-03 17: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5월 2% 하락 6월 첫장서 끊어
韓·中 수출 모멘텀 회복세 기대
“2600선 하회하기 어려울 것”

▲그래픽=손미경 기자 sssmk@

증권가가 코스피 지수가 5월 나타낸 내림세를 끊고 6월 반등할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했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이날 1.74% 오른 2682.52에 장을 마쳤다. 5월 한 달간 2692.06에서 2636.52로 하락한 뒤 오름세로 전환했다. 이날로 코스피는 지난 한 달간 기록한 2.06% 하락분을 소폭 만회했다.

코스피는 5월 초중순 2690~2730선에서 맴돌다 지난주(5월 27~31일) 급락했다. 5월 마지막 한 주간 코스피는 2722.99에서 2636.52로, 5거래일 만에 3.17% 하락했다. 코스피가 2630선으로 밀린 것은 4월 18일 이후 약 한 달 만이었다.

특히 반도체, 이차전지 대표 종목들의 약세가 두드러지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4월 초 8만5300원까지 치솟았던 삼성전자는 5월 7만7000원~8만1000원대를 오가다 5.16% 떨어졌다. 같은 기간 배터리 대장주인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는 14.91%, 13.71%씩 빠졌다. 거래대금이 각각 2조3384억 원, 2조2707억 원에 달한 POSCO홀딩스와 LG화학도 8.89%, 12.67%씩 내렸다.

다만 6월 들어서는 국내 증시가 활기를 띨 수 있다고 증권가는 보고 있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를 둘러싼 시장의 불안감이 진정세에 접어들고, 한국·중국 경기와 함께 수출 모멘텀이 회복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연내 한 차례 금리 인하 우려와 일부 금리 인상 우려까지 증시에 선반영된 상태”라며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점도표 후퇴 가능성을 고려하더라도, 과도한 통화정책 불안심리로 판단하며, 미국 경기 둔화와 경제지표 부진은 물가와 통화정책 불안심리를 진정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채권금리와 달러화 하향 안정으로 코스피에 외국인 선물 매수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며 “한국과 중국은 수출 모멘텀 강화, 중국 소비 개선 등 우호적 펀더멘털 환경이 조성되는 중으로 신흥 아시아 증시에서 상대적 우위가 예상된다”고 부연했다.

엔비디아가 이끄는 인공지능(AI) 반도체 랠리의 동력이 이어지고 있는 점이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유럽중앙은행(ECB) 등 미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서도 금리 인하 신호가 감지되는 것도 긍정적 요소로 관측된다.

이재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TSMC, SK하이닉스, 어드반테스트, 삼성전자 등 엔비디아 밸류체인에 속해 있는 대표 기업은 올해와 2025년 매출총이익률이 상승할 것”이라며 “삼성전자 매출총익률 절대 수준이 비교 빅테크 기업보다 낮지만, 2년 연속 상승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또 “금리를 인하하는 중앙은행 비율은 2022년 10월 1991년 이후 최저점인 12%를 기록한 뒤 올해 1월 38%를 거쳐 5월 41%까지 상승했다”며 “글로벌 유동성 총액은 103조7000억 달러로 사상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전 세계 지수 시가총액은 94조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짚었다.

대신증권은 6월 코스피 예상 밴드를 2600~2830로 제시했다. 신한투자증권과 상상인증권은 각각 2600~2800, 2600~2850로 설정했다. NH투자증권은 6월 첫 주의 주간 밴드를 2580~2700로 예측했다.

특히 증권사들은 이달 코스피가 2600선 밑으로 떨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시장금리가 주식시장 부침을 유발하고 있지만, 디스인플레이션 기대 자체를 되돌리지는 않는다”며 “코스피가 2600을 하회하려면, 이익 추정에 중대 변화를 발견해야한다”고 지적했다.

김용구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6월 잠복돼 있을 불확실성을 고려하더라도 코스피 2600선의 하방 지지력은 공고하다”며 “현 지수 레벨 어귀에선 투매보다는 보유가, 관망보다는 매수 대응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본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