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예테크족…지난달 정기예금에 17조 몰렸다

입력 2024-06-04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5대 은행, 지난달 정기예금 16조↑
‘연4%’대 금리 실종에도 막차 수요
주담대 급증으로 가계대출 5조 ‘쑥’

예금 금리가 떨어지면서 감소세를 보였던 정기예금 잔액이 지난달 급증했다. 향후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지자 예·적금 막차 수요가 몰린 것으로 보인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31일 기준 정기예금 잔액은 889조7062억 원으로 전월(872조8820)대비 16조8242억 원 늘었다. 지난 3월과 4월에는 각각 12조8740억 원, 4941억 원 줄면서 2개월 감소세를 보였던 정기예금 잔액이 증가 전환한 것이다.

정기적금 잔액도 늘었다. 지난달 5대 은행의 정기적금 잔액은 33조4832억 원으로 전월(32조4530억 원)보다 1조302억 원 불었다. 3월(1조803억 원)에 이어 두 달 연속 증가다.

정기예금 금리는 기준금리(연 3.5%)와 유사한 수준까지 내려가면서 투자 매력도는 떨어진 상태다. 이날 기준 5대 은행의 주요 정기예금 상품의 최고 금리(1년 만기)는 연 3.50~3.60%로 집계됐다. 국민·신한·하나은행의 경우 기본금리가 연 2.60~2.90% 수준으로 2%대로 시작한다.

한국은행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통계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지난 4월 저축성 수신(예금) 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53%로 지난 3월(3.58%)보다 0.05%포인트(p) 떨어졌다. 지난해 12월 이후 다섯 달 연속 하락세다.

하반기 중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지자 조금이라도 더 높은 금리에 정기예금을 가입하려는 ‘막차’ 수요가 몰리면서 예금이 불어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은행권 관계자는 “하반기에 기준금리 인하 관측이 높아진 데 따른 영향”이라면서 “정기적금의 경우 희망적금 만기로 워낙 많이 빠졌었기 때문에 전월 잔액 대비 늘어난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대기 자금 중 일부가 정기 예·적금으로 흘러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5대 은행의 저원가성 예금인 수시입출금식 저축성예금(MMDA)을 포함한 요구불예금 잔액은 614조1055억 원으로 전월(616조3371억 원) 대비 2조2316억 원 줄었다. 반면 증시 대기성자금인 투자자예탁금은 지난달 31일 기준 54조3964억 원으로 전월 말 대비 2조8342억 원 감소했다.

요구불예금은 언제나 입·출금이 가능한 자금을 말한다. 입·출금이 자유로운 만큼 시중은행의 금리가 오르면 정기예금으로, 내리면 증권·부동산 등 투자자산 시장으로 이동하는 이른바 ‘투자 대기성 자금’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한편, 지난달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03조2308억 원으로 전월(698조30억 원)보다 5조2278억 원 늘었다. 두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간 주택담보대출이 가계대출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5대 은행의 지난달 기준 주담대 잔액은 546조3060억 원으로 전월보다 5조3157억 원 확대됐다. 2개월 연속 증가로 지난 3월 말 이후 두 달간 9조6590억 원 늘었다. 개인신용대출 잔액은 102조9924억 원으로 전월(102조8050억 원)대비 1874억 원 증가했다. 올해 1~3월 개인신용대출은 약 4조 원이 줄었으나 지난 4월(4029억 원)에 이어 두 달 연속 늘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