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업 만난 이복현 “외국 회사 진입 제한 요인 적극 개선할 것”

입력 2024-06-03 13: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왼쪽에서 다섯번째부터)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암참) 회장 겸 대표이사 (박민규 기자 pmk8989@)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글로벌 기업들과 만난 자리에서 "국제 표준에 맞지 않는 규제와 외국 기업의 진입을 제한하는 요인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암참)는 3일 그랜드 하얏트 서울 호텔에서 이 원장 초청 오찬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금융 업계를 비롯한 다수 글로벌 기업 대표가 참여했다. 이 원장은 2024년 금융감독원의 정책 우선순위를 비롯해 금융 서비스 산업 전반의 활성화 및 동력 강화를 위한 주요 방안들을 소개하며, 대한민국이 아·태지역의 핵심 금융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을 공유했다.

이 원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고물가·고금리 등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미국과 중국의 내수 회복을 중심으로 세계 경제 연착륙에 대한 기대감이 나타나고 있다”며 “우리 경제의 불안 요인으로 지목되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또한 사업장별 옥석 가리기를 통해 시장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자금 선순환을 도모함으로써 위험요인을 오히려 경제성장의 기회 요인으로 전환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진 제임스 김 암참 회장 겸 대표이사와의 좌담에서 이 원장은 최근 한국 정부가 기업 지배구조 선진화와 상장기업 가치제고를 위해 발표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과 해당 프로그램이 국내 주식 시장 및 외국인 직접투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했다. 더불어 한국이 규제 개혁을 통해 싱가포르, 홍콩, 상하이 등 아시아 금융허브와 견줘 경쟁력을 강화할 방안에 대한 통찰을 제시했다.

아울러 최근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한 한·미 양국 간 투자 상황 가운데 대한민국이 역내 금융 허브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암참의 역할과 금감원과의 협력 방안 등도 이야기됐다.

제임스 김 회장은 “대한민국은 다국적 기업들에 매력적인 투자처”라면서도 “싱가포르에 있는 글로벌 기업의 아·태지역 본부는 5000여 개, 홍콩은 1400여 개인 반면 한국에는 100개도 채 안 되는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이 한국이 아·태지역 비즈니스 혁신 허브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적기”라며 “한국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규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암참의 평가에 깊이 공감하며 기업들의 성장을 저해하는,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지 않는 규제나, 외국계 회사 진입 제한 요인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발굴해 개선해 나가겠다”며 “한국이 글로벌 중심지로 거듭나면 암참 회원사를 포함해 한국에서 활동하는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탄탄한 경쟁력을 갖춰 성장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