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이차전지·수소· 첨단바이오·원자력·반도체 ‘국가대표 연구단’ 키운다

입력 2024-06-03 15:59수정 2024-06-03 16: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출연연구기관 간 칸막이를 혁파하고 ‘산·학·연’과 함께 역량을 결집해 국가적 임무를 수행할 이차전지, 수소, 첨단바이오, 원자력, 반도체 분야 국가대표 연구단이 최종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2024년도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지원사업’ 최종 평가 결과 총 5개의 과제가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지원사업’은 출연연 상호 간 칸막이를 혁파해 국가적 임무 중심의 개방적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출연연이 국가 연구기관다운 대형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사업이다. 이를 통해 국가 과학기술 전략과 임무 선도라는 출연연의 핵심 역할을 재정립하는 한편, 글로벌 기술패권 시대 속에서 국가·사회에 기여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5개 연구단에 올해 총 1000억 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된다. 올해 260억 원을 지원받는 시장선도형 차세대 이차전지 혁신 전략연구단은 차세대 이차전지 초격차 기술 선점을 통한 차세대 이차전지 상용화 견인을 목표로 하는 연구단이다. 본 전략연구단은 1회 충전으로 국내 일주가 가능한 고용량 이차전지, 친환경 소재의 미래 항공교통 수단용 가벼운 이차전지, 불나지 않는 이차전지, 자원고갈 걱정 없는 비리튬계 이차전지 및 세계 1등 공정·장비 기술 등의 성과 창출을 목표로 한다.

올해 170억 원 지원받는 수전해 수소 생산시스템 전략연구단은 수전해 핵심기술을 국산화해 탄소 중립, 에너지 안보 확립 및 청정수소 신산업 창출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연구단이다. 본 전략연구단은 차세대 수전해 분야인 고분자 전해질막(PEM), 차세대 저온(음이온 교환막, AEM) 및 고온 수전해에 대한 핵심 원천 및 시스템 설계·최적화 기술 개발을 통해, 1ton/day급 수전해 수소 생산시스템 핵심 요소기술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올해 170억 원 지원을 받는 글로벌 TOP 유전자·세포치료 전문연구단 유전자·세포치료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원천기술 주권을 확보하고 지속 가능한 공공 R&D(사업화 연계 기술개발) 플랫폼을 구축해 민간기업의 첨단의약품 개발 가속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연구단이다.

올해 250억 원의 지원을 받는 SMR 가상원자로 플랫폼 개발사업단은 SMR 실증·설계·운영의 핵심 기술인 SMR 가상원자로 플랫폼 개발을 목표로 하는 연구단이다. 본 전략연구단은 다양한 형태의 SMR에 범용으로 적용 가능한 디지털트윈 형태의 가상원자로 플랫폼을 개발하여, SMR 실증을 어렵게 하는 병목을 신속히 해결하고 고수준 자율운전을 통해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운전원 오류 제로 SMR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올해 160억 원을 받는 초거대 계산 반도체 전략연구단은 복잡하고 어려운 최적화 문제를 초고속, 저전력으로 해결할 수 있는 초거대 계산 처리용 차세대 컴퓨팅 반도체 개발을 목표로 하는 연구단이다. 정부는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지원사업’을 시작으로, 출연연이 급변하는 기술환경에 전략적·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역동적인 연구 환경을 마련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를 위해 출연연 간 융합·협업 문화를 조성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 생태계의 혁신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칸막이를 허물고 모든 역량을 결집해 글로벌 TOP 수준의 연구개발을 수행하기 위한 출연연들의 담대한 도전이 시작됐다”면서 “이번에 선정된 전략연구단들을 통해 국가 사회·경제에 기여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대형성과가 창출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과학기술 각 분야에서 여전히 산재해 있는 국가적 아젠다를 해결하기 위해 앞으로 전략연구단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