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전략] 이번 주 채권 금리, 물가 상승률 둔화에 단기 하락 전망

입력 2024-06-03 08:1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문가들은 이번 주(3~7일) 채권시장이 단기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3일 한화투자증권에 따르면 채권 금리는 장·단기 물가 흐름 모두 개선세를 보이면서 단기 하락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지난주 글로벌 국채 금리는 대부분 상승했다. 한화투자증권은 유럽 중앙은행(ECB)가 6월 기준금리 인하를 기정사실로 했으나 이는 채권 금리에 상당 부분 반영됐던 재료였던 탓에 추세적인 강세 압력으로 발전하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시장은 매파적 시그널을 계속해서 보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미 국채 입찰 부진 등에 주목해 약세를 보였다. 다만, 주 후반 긍정적인 수치가 발표된 개인소비지출(PCE) 영향에 미국 단기 금리는 하락 마감했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3월 PCE보다 4월 PCE는 부정적인 요소들은 여전히 존재하나 장·단기 물가흐름 모두 긍정적으로 발전했다”며 “세밀한 수치들도 개선됐다. 이번 물가 지표는 연초 이후 처음으로 ‘진전’이라는 단어를 써볼 수 있는 결과”라고 평가했다.

그는 “다만, 중물가의 고착화가 아직 남아 있는 부정적 요인”이라며 “가격이 급등하는 품목들은 계속해서 감소하지만, 연준이 원하는 2~3%대 상승률을 보이는 품목 비중도 한 자릿수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물가 수치가 긍정적이긴 하나 통화정책에 변화를 줄 정도는 아니다”라며 “금리 역시 단기 하락은 타당한 흐름이고, 상단을 공고히 할 수 있는 재료라고 판단하나 추세적인 하락으로 발전되기는 힘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주 초는 PCE를 반영할 시간이고, 주 후반은 기준금리 인하가 기정사실화된 ECB 통화정책 회의를 소화해야 한다”며 “한국 5월 물가는 시장 예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 하방 압력이 고르게 우세한 장세를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