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이번주 선관위 출범…‘지도체제 변경’ 여부 관심

입력 2024-06-02 13: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대 룰 이어 8년만 지도체제 변경 논의
총선 참패 두 달 만…전당대회 준비 본격화

▲황우여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추경호 원내대표를 비롯한 의원들이 30일 오후 충남 천안 재능교육연수원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22대 국회의원 워크숍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시스)

당 대표 선출을 위한 국민의힘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회가 이번 주 출범해 첫 회의를 열 것으로 보인다. 전대 룰 개정과 함께 지도체제 변경 논의도 급물살을 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일 정치권에 따르면 선관위는 11명 규모로 이르면 내일(3일) 출범한다. 위원 명단이 확정되면 비상대책위원회의 의결을 거칠 예정이다.

선관위가 공식 출범하면 전당대회 준비가 본격화되는 만큼, ‘지도체제 변경’ 논의에도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당은 현재 차기 지도부 구성을 두고 단일지도체제와 집단지도체제 사이에서 고심하는 분위기다.

앞서 당은 8년 전 지도부 구성 방식을 단일체제로 전환한 바 있다. 기존 집단체제에서의 극심한 계파 갈등이 총선 패배의 원인으로 지목됐기 때문이다. 단일체제는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와 최고위원 경선을 따로 진행하고, 집단체제는 최다 득표자가 당 대표, 차순위 득표자들이 최고위원이 된다.

현행 단일체제는 단일대오 유지에는 유리하지만, 최고위원의 존재감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 또 더불어민주당과 비슷한 시기 치러지는 당 전당대회가 흥행하기 위해선 집단체제로 전환해 대권 잠룡들의 당 대표 출마를 독려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에 황우여 비대위원장은 “여러 아이디어 중 하나”라며 ‘절충형 집단지도체제’를 새롭게 띄운 상황이다. 단일·집단 체제를 혼합한 형태다. 절충형 지도체제에선 당 대표 선거 1위가 당 대표가 되고, 2~3위는 최고위원이 된다. 나머지 최고위원은 최고위원 선거로 선출한다.

주요 당권 주자들도 황 위원장의 제안을 지도부 차원에서 본격 논의해봐야 한다는 반응이다.

안철수 의원은 “단일지도체제의 가장 큰 단점은 대표와 최고위원 간 간극이 커지는 것”이라며 “한 번도 국회의원을 하지 않은 당협위원장이라든지 비례대표 초선의원이 최고위원이 되는, 옛날 같으면 있을 수 없는 일들이 생긴다. 지금이야말로 집단지도체제도 검토해볼만 한 시기”라고 말했다.

윤상현 의원도 당내 기구를 따로 꾸려 의견을 수렴하자고 제안했다. 윤 의원은 “이런 문제를 가지고 몇 사람이 선거관리위원회에서 결정할 문제가 결코 아니다. 당원 또 국민 의견을 전체적으로 수렴할 문제”라고 주장했다.

황 위원장은 지도체제 변경을 결정할 당헌·당규 개정 특별위원회 구성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 외 전대 개최 시기와 룰 개정 여부도 주요 관심사다. 전당대회 개최 시기는 7월25일 이전이나 8월10일 이후가 유력하다. 앞서 황 위원장은 언론 인터뷰에서 2024 파리 올림픽이 열리는 7월25일부터 8월10일까지는 피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현행 당원투표 100%인 당 대표 선출 규정은 민심을 일부 반영하는 방식으로 바뀔 것으로 보인다. 일부 당권주자들은 민심 반영 비율을 50%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다만 당을 대표하는 당 대표 선출에선 당원 목소리를 더 많이 반영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는 만큼, 20~30% 범위에서 민심을 반영할 것이라는 관측이 가장 유력하게 떠오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