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천피 외쳤는데…” S&P 11% 오를때 코스피 ‘게걸음’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②

입력 2024-06-02 18: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삼성전자ㆍ이차전지주 부진 영향
밸류업 정책 기대이하 평가도 한몫
“세제 외 인센티브 등 대책 필요”

▲글로벌 금리 불안이 커지면서 코스피가 1.5% 넘게 하락 마감했다. 5월 30일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스마트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지수가 전 거래일 대비 41.86포인트(1.56%) 내린 2635.44를 나타내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미 국채 금리 급등으로 전일 대비 14.4원(1.05%) 오른 달러당 1379.4원에 거래를 마쳤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직장인 김 모(30) 씨는 최근 보유 중이던 국내 주식을 팔아치우고 있다. 수익이 1%라도 나면 무조건 차익실현 하는 식이다. 그런데도 현재 김 씨의 증권계좌에 남아있는 국내 주식은 5000만 원가량. 이차전지주 등에 크게 물려있어 차마 팔지 못하는 것이다. 김 씨는 “수익률이 플러스로 전환된 종목을 팔고 나니 평균 수익률이 마이너스 45%”라며 “지지부진한 흐름에 지쳐서 이제는 남은 종목도 손절매하고 다른 투자처를 찾아야 할 것 같다”고 하소연했다.

개미(개인투자자)들이 국내 증시에서 발을 빼고 있다. 올해 글로벌 증시는 사상 최고가를 갈아치우며 고공행진 했지만, 코스피는 지루한 박스권에 갇혀서다.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가 올해들어 지난달 31일까지 11% 가까이 오를 때 코스피 지수는 연초(2655.28) 수준보다도 낮은 2636.52(-0.72%)에 장을 마감했다. 한때 ‘삼천피(코스피 지수 3000)’를 외치던 기대감도 이제는 매도세로 돌아서는 분위기다.

국내 증시, 이유 있는 부진 ‘둘’

코스피의 발목을 붙잡는 요인 중 하나는 자본시장의 중요한 화두로 기대감을 모았던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정책이 ‘기대 이하’라는 평을 받아서다. 또 국내 시가총액 1위 삼성전자와 개미들이 사랑한 이차전지주가 부진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신한투자증권은 삼성전자와 이차전지주가 코스피를 연초 이후 3.7%가량 하락시켰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연초 대비 6.37% 하락했다. 고대역폭메모리(HBM) 검증 테스트 결과가 지연되는 데다가 창사 이래 처음으로 노조가 파업 선언을 하는 등 겹악재가 덮친 탓이다. 지난달 말 경기도 용인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근무하던 직원 2명이 방사선에 피폭됐다는 사실까지 이어져 위기감은 더욱 커졌다.

같은 기간 국내 주요 이차전지주를 담은 ‘KRX 2차전지 TOP 10 지수’도 26.85% 떨어졌다. 개별 종목별로 보면 올해 △에코프로머티(-57.88%) △SK아이이테크놀로지(-45.31%) △에코프로비엠(-33.58%) △포스코퓨처엠(-30.22%) 등 순이다. 글로벌 전기차 수요가 둔화하면서 이차전지 기업 실적도 지지부진해지자 주가 하락이 두드러진 셈이다.

힘 빠진 정부의 밸류업 지원안도 국내 증시를 박스권 장세로 이끌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 현상을 해소할 것으로 기대됐던 밸류업 프로그램이 증시 부양에 실효성이 적다는 평이 나와서다.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유인책 없이 기업의 자발적 참여만으로 작동하는 방식이 효과를 낼 수 있을지 시장은 의문을 제기한다.

반등 기회 보는 코스피 이끌 재료는

길어지는 박스피 장세는 국내 투자자들의 이탈세도 키웠다.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투자 자금은 증시 대기성 자금으로 분류되는 투자자예탁금이나 자산관리계좌(CMA) 등에 쏠렸다. 그 규모만 350조 원에 달한다.

국내 투자자뿐이 아니다. 외국인 투자자도 이탈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4월까지 6개월 연속 월별 순매수세를 보이던 외국인 투자자는 5월 국내 증시에서 9541억 원 순매도했다. 올해 1분기 외국인의 국내 주식 순매수는 사상 최고치였지만, 그 정도가 점점 둔화한 영향이다.

증권가에서는 박스피를 벗어나 자금 이탈 조짐을 막으려면 밸류업 프로그램을 비롯한 추가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 “밸류업 프로그램은 궁극적으로 비효율 자산 매각, 자본 비용(Cost of Equity) 축소에 따른 레버리지 제고로 이어져야 한다”며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바뀌기 위해서는 밸류업 추진 기업들에 수급상 혜택을 부여하거나 세제 외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고 했다.

박소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7월 전후 확정될 세제 혜택이 관건으로, 주주환원 확대 시 법인세·배당소득세 경감 등이 핵심”이라며 “3대 분야 8종 인센티브(밸류업 지수 편입우대 등)에 세제 혜택이 더해지느냐가 관건”이라고 분석했다.

코스피 회복 조건으로는 채권금리 하향을 꼽는 분석도 나온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금리 인하 시점과 폭에 대한 불확실성이 남아있는 동안 코스피의 강한 상승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면서도 “반대로 생각해 보면 금리 인하 사이클의 가시성이 높아지면서 채권금리가 하향 안정세를 보일 경우 코스피는 멋진 백조가 되어 날아갈 수 있다”고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