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전재정·세수부진'에 내년도 예산 증가율 3~4% 전망

입력 2024-06-02 10:14수정 2024-06-02 10: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676조~683조 원 선…역대 최저 2.8% 증가율보단 소폭 증가 예상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5월 27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기재부 기자실에서 열린 5월 월례 기자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정부가 내년도 총지출 예산을 올해대비 3~4% 늘려 편성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내년에도 윤석열 정부의 건전재정 기조가 지속되고, 연내 세입 여건이 녹록지 않은 점을 고려해 올해 예산 2.8% 증가율(역대 최저)보단 소폭 높고, 전 정부보다는 낮은 증가율로 예산을 짠다는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2일 "내년도 총지출 예산 편성 작업이 초기 단계지만 올해 지출예산보다 3~4% 정도 증가하지 않을까 예상된다"고 밝혔다.

올해 총지출 예산은 전년보다 2.8%(17조9000억 원) 늘어난 656조6000억 원으로 편성됐다. 올해보다 3~4% 늘어나면 내년 정부의 총지출 규모가 676조~683조 원 선에서 편성되는 것이다.

총액 면에는 대략 20조 원 이상 늘어나지만 증가율은 예년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윤석열 정부의 첫 예산 편성이 이뤄진 2023년 총지출 예산 증가율은 5.1%, 2024년 2.8%를 기록했다. 올해 2.8% 증가율은 재정통계가 정비된 2005년 이후 역대 최저 증가율이다.

내년 예산 3~4% 증가율(예상)이 올해보단 높은 것은 사회복지 등 법령에 근거해 지출하는 의무지출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문재인 정부의 2018~2022년 예산상 총지출 증가율이 연 7~9%대인 것과 비교하면 낮은 증가율이다.

전 정부보다 예산 증가율이 크게 낮은 것은 윤석열 정부의 건전재정 기조에 따른 것이다. 건전재정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지출을 철저히 감축하되 미래 투자와 체질 개선을 과감하게 추진해 성장 잠재력을 제고하고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재정 철학을 의미한다. 경제 도약과 민생 안정을 위해 필요한 재정의 역할을 내세운 문재인 정부의 재정 철학과는 대조적이다.

건전재정 기조 속 올해 세수 상황이 크게 개선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도 예년보다 낮은 내년 예산 증가율 요인으로 꼽힌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내년 지출 예산을 짤 때 올해 거둬들인 세수 상황도 고려해야 한다"며 "올해 5월 종합소득세, 7월 부가가치세 납부 상황을 봐야겠지만 법인세수가 전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예상돼 현재로선 세입 여건이 녹록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올해 1~4월 누적 국세수입은 125조6000억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8조4000억 원 줄었다. 올해 연간 국세수입 목표치(367조3000억 원) 대비 진도율은 34.2%로 전년(38.9%)보다 저조하다. 작년보다 세수가 걷히는 속도가 더디다는 얘기다. 4월까지 세수 감소는 법인세 수입 급감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

올해 1~4월 법인세(22조8000억 원)는 작년 기업실적 저조에 따른 3월 신고 분납분 감소 등으로 전년대비 12조8000억 원이나 줄었다. 올해 연간 법인세가 전년(80조4000억 원)보다 2조7000억 원 줄어든 77조7000억 원이 걷힐 것으로 추산되고 있지만 예상보다 더 줄어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자칫 작년에 이어 세수 결손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정부는 건전재정 기조와 녹록지 않은 세수 상황을 고려해 내년도 예산 편성에서 국정과제 등 필수소요를 제외한 모든 재량지출에 대해 10% 이상의 구조조정(삭감 등)을 추진한다.

정부는 2023~2024년 예산 편성 과정에서도 재량지출을 10% 이상 구조조정한 바 있다. 해당 연도 재량지출 구조조정 규모는 각각 24조 원(역대 최대), 23조 원이다.

고강도 재량지출 구조조정으로 얻어진 재원은 연구개발(R&D)·반도체·저출생 등의 관련 대응 예산으로 투입될 예정이다.

앞서 정부는 올해 4월 '내년 역대 최대 수준의 R&D 예산'을 약속한 데 이어 지난달에는 8조 원의 재정 지원을 포함한 26조 원 규모의 반도체 생태계 종합 지원 방안도 내놨다. 가칭 '저출생부'를 만들어 출산율 제고 정책에도 속도를 낼 것이라고 공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