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회의 땅’ 아프리카 외교 막 올랐다

입력 2024-06-01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4~5일,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개최
45개국 참가...국가원수 오는 25개국과 정상회담
5월 31일 한‧시에라리온 정상회담...TIPF 체결
경제적 잠재력 기대되는 아프리카...‘전략적 중요성’↑

▲윤석열 대통령이 5월 3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방한한 줄리어스 마다 비오 시에라리온 대통령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아프리카 48국 대표단이 참석하는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의 막이 올랐다. 4~5일 열리는 이번 정상회의는 윤석열 대통령 취임 후 최대 규모 다자 정상회의이자, 우리나라와 아프리카 국가 간 최초 다자 정상회의다. 정상회의는 물론 이를 계기로 이어질 25개국과의 릴레이 정상회담으로 풍부한 핵심 광물 자원과 개발 잠재력을 가진 기회의 땅 아프리카와 경제 협력 강화의 기회가 열릴지 주목된다.

尹, 시에라리온 대통령과 정상회담...TIPF 체결로 포문 열어

윤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시에라리온과의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아프리카 외교의 포문을 열었다. 이날 윤 대통령은 정상회의 참석차 공식 방한한 줄리어스 마다 비오 시에라리온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협력 관계를 경제, 농업, 교육 등 분야를 중심으로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시에라리온은 이번 정상회의를 계기로 공식 방한하는 4개국(시에라리온‧탄자니아‧에티오피아‧모리타니) 중 하나로, 이날 정상회담은 25개국 릴레이 정상회담 중 첫 번째다.

양국은 ‘무역투자촉진 프레임워크’(TIPF‧Trade and Investment Promotion Framework)를 체결했다. TIPF는 자유무역협정(FTA) 핵심인 관세 양허(讓許·축소 또는 철폐)를 배제한 포괄적 업무협약(MOU)으로, 시장 개방은 다루지 않는 MOU다. 정부는 TIPF로 양국 간 교역 품목 다변화와 호혜적인 투자 협력을 증진한다는 계획이다.

또 한국의 벼 종자를 공급하고 쌀 재배 기술을 전수하는 공적개발원조(ODA)인 ‘K-라이스벨트 사업’을 토대로 식량 안보 협력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외교‧안보에서도 양국은 북한의 지속적 도발에 함께 우려를 표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 이행에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전 세계 광물 30% 매장된 아프리카, ‘기회의 땅’

윤 대통령은 취임 이후 아프리카와의 외교에 공을 들여왔다. 윤 대통령은 취임 첫해 22년 11월 ‘아프리카의 밤’ 행사를 개최했고, 이때 이번 정상회의 개최 계획을 밝혔다.

당시 윤 대통령은 “우리 정부는 15년간 아프리카 ODA를 10배 이상 늘려왔지만 현장에선 충분치 않다는 목소리가 크다”며 “이 규모를 획기적으로 확대하고 한국 기술‧경험을 공유하는 한국형 개발협력사업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정부 출범 이후 17개 아프리카 국가들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아프리카의 경제적 가치는 무궁무진하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지난달 29일 발간한 ‘한-아프리카 경제협력 활성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아프리카 경제성장률은 3.8%, 내년에도 4.1% 고성장이 전망된다. 아프리카 경제성장률은 2000년 이후 세계 평균치를 상회하고 있다. 아프리카 대륙은 전체 인구의 60%가 25세 이하로 구성돼 있고,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곳이다.

무엇보다 전 세계 광물의 3분의 1이 아프리카에 매장돼 있다. 전기차 배터리 핵심 광물인 코발트의 52%가 아프리카에 있으며, 리튬 매장량도 상당하다. 아프리카 주요국의 재정‧외화 수입의 원천 역시 광물 자원으로, 중국 등 경제대국도 집중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해 아프리카 광산들과 전략적 협업을 통해 배터리 공급망을 강화하고 있다. 미국과 일본 등도 개발회의, 정상회의 등을 통해 아프리카와의 협력을 꾀하고 있다.

커지는 아프리카 ‘전략적 중요성’...“반드시 협력해야”

우리나라는 핵심 6대 광물(리튬‧니켈‧코발트‧흑연‧희토류‧백금) 중 흑연을 제외하고 전량 수입에 의존한다. 특히 중국 의존율이 높아 공급망 확보 및 다변화가 필수적이다. 무엇보다 내년부터 국내 배터리‧전기차사는 미 재무부‧에너지부‧국세청이 지정한 중국‧러시아‧북한‧이란의 해외우려단체(FEOC)에서 나오는 핵심 광물을 사용하면 미국에서 보조금을 받을 수 없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지난달 30일 브리핑에서 “아프리카의 전략적 중요성은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며 “반드시 협력해야 할 국가”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정상회의 첫날인 4일엔 개회식을 비롯해 △정상회의 오전 세션 △기념촬영과 친교 오찬 △정상회의 오후 세션이 진행된다. 이튿날인 5일에는 ‘2024 한·아프리카 비즈니스 서밋’이 열린다.

정부는 이번 정상회의에서 공적개발원조(ODA) 수혜국에서 공여국이 된 경험을 공유하며 협력문서를 통해 교역과 투자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각국 산업 수준과 경제 격차를 감안해 농업‧수산업‧인프라 등 분야별 맞춤형 협력도 추진한다. TIPF를 시작으로 한국과 아프리카 간 자유무역협정(FTA) 추진 논의 불 붙을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