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앓고 있는데 시력 흐려지면…‘실명 전조증상’일 수도 [e건강~쏙]

입력 2024-05-31 14: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망막혈관폐쇄 가능성 커…망막동맥폐쇄라면 즉각 조치해야

‘건강을 잃고서야 비로소 건강의 소중함을 안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행복하고 건강하게 사는 것만큼 소중한 것은 없다는 의미입니다. 국내 의료진과 함께하는 ‘이투데이 건강~쏙(e건강~쏙)’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알찬 건강정보를 소개합니다.

▲김주연 세란병원 안과센터장이 환자와 상담하고 있다. (사진제공=세란병원)

고혈압을 앓고 있는데 시력이 갑자기 흐려진다면 ‘망막혈관폐쇄’의 가능성이 커 신속하게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망막혈관폐쇄는 혈관이 막혀 시력 감소를 초래하는 질환으로 2시간 이내 조처하지 않으면 실명에 이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망막폐쇄혈관 진료 환자는 지속해서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망막폐쇄혈관 환자는 2011년 4만4010명에서 2021년 7만5154명으로 10년 만에 70% 증가했다.

망막은 중요한 신경조직으로 구조가 얇은 막이다. 그룹과 같은 모양으로 혈관들이 복잡하게 퍼져 있다. 망막에는 망막에 피를 공급해주는 망막 동맥, 망막에서 사용한 피를 다시 심장으로 보내는 망막 정맥, 망막 동맥과 망막 정맥에서 갈라져 나온 혈관인 분지가 있다. 폐쇄된 망막 혈관의 위치에 따라 중심동맥폐쇄 또는 중심정맥폐쇄, 분지동맥폐쇄 또는 분지정맥폐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폐쇄된 위치에 따라 시력 저하의 정도 및 저하 속도에 차이가 있다.

이중 망막동맥폐쇄는 즉각적인 조치를 받아야 한다. 즉시 응급실에 방문해 발병 후 2시간 이내에 적극적으로 안압을 낮춰야 한다. 폐쇄가 2시간 이상 지속하면 시력 회복을 기대하기 어렵다.

망막혈관폐쇄를 예방하려면 고혈압이나 당뇨, 동맥경화를 앓고 있는 환자는 기저질환을 잘 관리해야 한다. 노안이 시작되는 40대부터는 정기적인 안과 검진이 필요하다. 아울러 적정 체중 유지, 금연·금주 실천이 중요하다.

망막혈관폐쇄는 급격한 시력저하는 물론 벌레가 눈앞에 떠다니는 비문증, 시야 중심부가 가려지는 중심암점 등을 동반할 수 있다. 특히 날이 추워질수록 혈관이 수축하는 만큼 겨울철에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도 알려진다.

김주연 세란병원 안과 센터장은 “눈 혈관이 막히는 망막혈관폐쇄는 급격한 시력저하 외에 특별한 전조증상이 없어 위험한 질환”이라며 “망막혈관폐쇄는 주로 50세 이상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시력이 흐려지는 증상을 노안으로 오인하기 쉽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 센터장은 “망막혈관폐쇄를 예방하려면 고혈압 등 기저질환을 잘 관리해야 하며, 1년에 1~2회 이상 안저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라고 조언하며 “비만은 동맥경화를 유발할 수 있어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고혈압과 고지혈증을 유발하는 음주는 될 수 있으면 삼가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