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칠도 안 통하네’ 신용등급 또 강등된 석유화학, 상반기 정평 이후는

입력 2024-05-30 15:54수정 2024-05-30 18: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여천NCC '안정적'에서 '부정적' 신용전망 하향 조정
S&P글로벌, LG화학·LS에너지솔루션도 '부정적' 내려
中 설비 증설 영향에 원료 경쟁력 하락 경영 불확실↑

▲LG화학 여수 NCC 공장 전경. (사진제공=LG화학)

신용평가업계에서 올해 최다 신용등급 하향 조정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한 석유화학 업계의 신용도 강등이 현실화하고 있다. 비우호적 수급 환경으로 수익성이 크게 저하한 가운데 신규 사업은 부진한 성과를 보이고 있어 상반기 정기평가가 끝나면 추가 등급 하향이 나올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신용평가는 전날 석유화학업체 여천NCC의 무보증사채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무보증사채 신용등급 'A'와 기업어음 등급 'A2'는 그대로 유지한다. 신용등급 전망 변동 사유는 중국의 석유화학 자체 생산능력 확대와 전방 수요 회복 지연 등 비우호적인 수급환경으로 이익창출력과 재무안정성 등이 약화하면서다.

28일에는 글로벌 신용평가사 S&P글로벌이 LG화학과 LG에너지솔루션의 신용등급 전망은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양사는 공격적인 설비 투자에도 전기차 배터리 수요가 둔화하면서 자금회수가 지연되고 있다. LG화학의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 대비 차입금 비율이 2022년 1.5배, 2023년 2.4배에서 2024∼2025년 최대 2.8배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이후 석유화학 업종은 높은 신용등급 하방 압력을 받고 있다. 중국의 설비 증설 영향으로 원료 경쟁력이 하락하면서 경영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국내 석유화학사들은 원료 전량을 해외 수입에 의존해야 해 자급력이 부족한 데다 올해 들어 중동 전쟁 리스크로 고유가가 지속하면서 'NCC 설비 경쟁력'도 악화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신용등급이 강등된 석유화학사는 SK이노베이션(AA), SK에너지(AA), SKC(A+, 부정적), SK지오센트릭(AA-) 등이다. 나이스신용평가는 단기간 내 가시적인 실적 개선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석유화학사로 롯데케미칼(AA), 한화토탈에너지스(AA), 한화솔루션(AA-), 효성화학(BBB+)를 제시했다.

석유화학사들이 올해 내로 계획하고 있는 설비투자 규모는 연간 약 13조 원 수준으로 EBITDA 추정치 대비 높은 수준이다. 이익창출력이 약화된 상황에서, 대규모 설비투자 집행이 동반되며 재무레버리지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상반기 정기평가에서 석화사들의 재무구조가 다시 한번 모니터링하는 과정에서 신용위험도 상승할 가능성이 커지는 셈이다.

나신평은 "중국 정부의 부양 정책에도 불구하고 경기 개선에 따른 석유화학 제품 수요 회복이 현재의 예상 시점 대비 지연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향후 수급상황이 개선되더라도 이익창출력이 과거 호황기 대비 미흡한 수준에 그칠 수 있다"며 "향후 석유화학사들의 채무상환능력 저하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