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올해 수출 8.3%↑…3년 만에 무역흑자 달성"

입력 2024-05-30 1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24년 하반기 경제산업전망 발표…경제성장률 2.5% 예측

▲2024년 수출입 전망 (자료제공=산업연구원)

올해 연간 수출이 8.3% 늘고, 무역수지는 335억 달러 흑자를 기록해 3년 만에 흑자 달성에 성공할 것이라는 국책연구기관의 전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30일 발표한 '2024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을 통해 올해 수출은 6848억 달러, 수입은 6513억 달러로 전년 대비 각각 8.3%, 1.4% 늘어날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올해 무역수지는 335억 달러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 수출은 지난달까지 7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를 기록 중이다. 핵심 주력 품목인 반도체 수출도 지난해 부진에서 완전히 벗어나 6개월 연속 증가세다. 무역수지 역시 1~4월 누적 106억 달러 흑자를 기록해 지난해 전체 적자 규모인 103억 달러를 넘었다.

박성근 산업연구원 동향분석실장은 "2024년 수출은 반도체와 자동차 등 주력산업의 호조세에 힘입어 전년 대비 8.3% 증가하고, 수입은 하반기 수출 업황 개선에 따른 중간재 수입 증가로 연간 1.4%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반도체는 최근 50%를 넘는 강한 회복세를 보였으며 연말까지 1300억 달러를 웃도는 수출 규모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역별로도 그간 큰 감소세를 보였던 중국과 아세안 지역에 대한 수출이 반도체 업황 회복과 함께 향후 수출 전망은 긍정적이라고 설명했다. 유가와 환율은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하지만, 그 변화폭은 크지 않아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전망했다.

정부는 올해 수출 목표를 역대 최대인 7000억 달러로 잡았다. 업계에선 한국 수출이 7000억 달러를 넘긴다면 사상 처음으로 일본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최근 기자들과 만나 "올해 수출 실적으로 일본을 따라잡거나 능가하는 상황이 된다면 산업계나 국민이 '우리가 여기까지 왔나' 자각하는 계기가 되고, 장기 미래에 대한 확신과 희망을 가지게 될 것"이라며 "수출로 올해 GDP 0.5%P 올려서 하반기 경제성장률을 2% 후반대로 올리고 내년엔 3%대로 올라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2024년 13대 주력산업의 산업전망 기상도 (자료제공=산업연구원)

수출 호조세가 지속하는 가운데 △자동차 △조선 △일반기계 △철강 △정유 △석유화학 △섬유 △정보통신기기 △가전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바이오헬스 등 13대 주력산업의 전망도 밝았다.

하반기 이들 주력산업 수출은 글로벌 IT 수요 확대, 주요 수출국 경기 및 수출단가의 개선에 따라 정유와 이차전지를 제외한 대다수 산업에서 늘어나 전년 대비 10.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도체는 주력 품목인 메모리반도체 단가 상승과 IT 기기 수요 개선 및 인공지능(AI) 관련 반도체 수요 증가로 하반기에도 26.3%의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며, 이에 연간 수출은 전년 대비 35.9%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자동차 수출(자동차부품 포함)은 전년 대비 2.6% 증가한 963억 달러로 사상 최대 수출 실적을 기록하고 조선 역시 연간 21.5%의 큰 폭의 증가세를 예측했다.

바이오헬스도 미국, 유럽의 의약품 수요 증가에 따른 바이오시밀러, 임플란트, 톡신 등 주력상품의 실적 호조세에 힘입어 하반기 24.9% 증가, 연간으로는 18.2%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이차전지는 상반기(-19.8%)에 이어 하반기(-5.3%) 수출도 역성장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측했다. 다만, 미국 시장에서의 전기차용 배터리 수요 증가 덕에 감소 폭이 상반기에 비해 낮아지며 연간으로는 12.7% 감소를 예상했다.

▲국내 주요 거시경제지표 전망 (자료제공=산업연구원)

한편, 산업연구원은 올해 경제성장률을 2.5%로 전망했다. 이는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과 같은 수준이다.

올해 민간 소비, 설비투자, 건설투자 증가율은 각각 1.8%, 2.3%, -1.5%로 전망했다.

박 실장은 "오랜 기간 유지된 고물가와 고금리의 영향이 내수 부문의 성장세를 제약할 전망이나, 반도체를 중심으로 자동차, 조선 등의 주력산업의 수출 호조세가 전체 경제 성장을 주도하면서 연간 2.5%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