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크 라이프사이언스, 대전 바이오프로세싱 생산 센터 기공식 성료

입력 2024-05-30 10: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전 둔곡지구 내 약 1만3000평 규모 건립, 2026년 말 준공 예정

▲머크 라이프사이언스가 대전 유성구 국제과학비즈니스 벨트거점지구(둔곡) 내에 설립될 아시아태평양 바이오프로세싱 생산 센터의 기공식을 개최했다. 머크 라이프 사이언스 비지니스 CEO인 마티아스 하인젤 대표가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머크 라이프사이언스)

머크 라이프사이언스는 대전 유성구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에 설립될 아시아태평양 바이오프로세싱 생산 센터의 기공식을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기공식에는 머크 이사회 멤버이자, 라이프 사이언스 비지니스 CEO인 마티아스 하인젤(Matthias Heinzel) 대표,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이장우 대전광역시 시장, 게오르크 빌프리드 슈미트(Georg Wilfried Schmidt) 주한 독일대사 등 머크를 비롯한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머크 아시아태평양 바이오프로세싱 생산 센터는 바이오 공정에 사용되는 원부자재의 생산시설로, 대전 유성구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인 둔곡 내에 약 4만3000 제곱미터(약 1만3000 평) 규모로 건립된다. 2026년 말까지 준공을 마치고 가동해 아시아태평양 전역의 제약바이오 기업 및 바이오텍을 대상으로 바이오의약품의 공정 개발 및 제조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센터 건립을 위해 머크는 총 4300억 원(3억 유로)을 투자했으며, 이는 현재까지 머크 라이프사이언스가 아태지역을 대상으로 한 투자 중 최대 규모다. 머크는 본 투자를 통해 2028년 말까지 약 300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마티아스 하인젤 머크 라이프사이언스 대표는 “한국은 바이오의약품 개발 분야에서 뛰어난 수준의 연구, 제조 및 서비스를 수행하는 수많은 기관이 자리잡고 있다”라며 “이를 바탕으로 머크는 한국이 아태지역에서 머크가 목표하는 미래를 실현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국가라고 확신했다”고 투자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한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신설될 바이오프로세싱 생산 센터가 한국 및 아태 지역 전반의 생명과학 산업을 더욱 활성화하는 모멘텀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과학을 통해 삶과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하고자 하는 머크의 궁극적 목표를 실현 가능케 할 것으로 자신한다”고 밝혔다.

이장우 대전광역시장은 “우수한 전문인력과 기업이 밀집해 있는 대전과 머크의 만남은 보스턴을 뛰어넘는 세계적 바이오 허브의 시작”이라며 “대전시는 머크 바이오프로세싱 생산 센터 구축과 함께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 발전을 이끌어갈 중추적 거점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머크는 이번 기공식 이후 KAIST와도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는 등 한국의 과학 연구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협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