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벡, 차세대 mRNA 백신 개발 국책과제 선정…콜드체인 필요 없도록

입력 2024-05-30 10: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펩타이드 융합 바이오 전문기업 나이벡은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주관하는 ‘국내 개발 신규 mRNA 백신 전달체 최적화 연구’ 수행 기관으로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국책과제는 기존 mRNA 백신 전달체인 ‘지질나노입자(LNP)’를 대체하는 차세대 약물 전달체를 적용한 mRNA백신을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해당 과제에서 나이벡은 자체 개발한 약물전달 플랫폼 ‘NIPEP-TPP’를 다양한 mRNA 항원의 전달체로 최적화해 mRNA 백신의 효능 및 안전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이번 정부과제를 기점으로 나이벡의 ‘NIPEP-TPP’는 mRNA 백신을 포함한 다양한 신약의 전달체로 적용이 확대될 전망이다.

펩타이드에 기반한 NIPEP-TPP를 적용할 경우, 기존 mRNA 백신 전달체 LNP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LNP는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해 극저온의 냉동 보관이 필요하다. LNP 속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성분은 전신 알레르기 증상 등 부작용의 원인이 된다.

반면, NIPEP-TPP는 입자 형성이 안정적일 뿐 아니라 mRNA를 보호하기 때문에 냉장보관이 가능하다. 특히 NIPEP-TPP는 원하는 세포나 조직에 정밀한 타겟팅이 가능해 다양한 유형의 바이러스 변종에도 적용될 수 있다. 반복 투여 시험을 포함한 독성 시험에서 안전성이 입증됐기 때문에 부작용도 적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나이벡 관계자는 “차세대 mRNA 전달체로 NIPEP-TPP가 적용될 수 있도록 이번 정부과제를 성실히 수행하겠다”며 “향후 mRNA 뿐 아니라 DNA, RNA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한 ‘뉴클레오타이드’ 전달 및 응용 기술을 개발해 새로운 파이프라인을 구축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정부과제 성과를 기반으로 mRNA 백신 및 신약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최근 정부가 mRNA 기술 국산화를 목표로 관련 연구개발 지원을 발표한 가운데, 질병관리청이 2027년까지 국내기업들을 통해 mRNA 기술이 적용된 백신 개발로 향후 신종 감염병 위기에 대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